황범석 대표 세무사. [사진=세무회계 필승]
황범석 대표 세무사. [사진=세무회계 필승]

[법무법인 필승 황범석 대표세무사] 과세관청은 미성년자 등이 비상장법인의 주식을 취득한 후 5년 이내에 해당 법인이 개발사업의 시행 등 재산가치증가사유로 인해 이익을 얻어, 비상장주식의 가치가 오른 경우 상승분에에 해당하는 이익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해 왔다.

근거는 바로 상증법 제42조의3 ‘재산 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이하 ’쟁점조문‘)’이다.

쟁점조문은 미성년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특수관계인으로부터 기업의 경영 등에 관해 공표되지 않은 내부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정보와 관련된 재산을 유상으로 취득한 경우’ 등 일정한 사유로 재산을 취득하고 재산을 취득한 날부터 5년 이내에 개발사업의 시행, 형질변경, 공유물 분할, 사업의 인가‧허가, 주식‧출자지분의 상장 및 합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이하 ‘재산가치증가사유’)로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의 이익을 얻었을 때 이익을 얻은 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고 규정돼 있다.

쟁점조문에 따른 과세와 관련해서는 항상 2가지 쟁점이 항상 대두돼 왔다.

첫 번째 쟁점은 재산가치 증가사유인 ‘개발사업의 시행’의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고, 두 번째 쟁점은 재산가치증가사유로 인해 법인의 주식가치가 증가해 주주가 얻게 되는 간접적인 이익(주식가치 증가분)을 과세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다.

대법원은 두 번의 판결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의 ‘개발사업’은 적어도 ‘행정청의 개발구역 지정‧고시가 수반된 것으로서 그 대상 토지를 개발해 그 토지가치를 증가시키는 사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공장의 완공 등은 기업이 제품생산을 위해 개별적으로 공장 건물을 신축한 것에 불과하고 여전히 구 상증세법 제42조 제4항에서 정한 ‘개발사업의 시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둘째, 재산가치 증가사유와 주식가치 증가분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면 그 이익도 과세대상으로 볼 수 있어, 법인의 이익에 따른 주식가치의 증가 역시 증여세 과세가 가능하다.

과세관청 입장에서 보았을 때, 1승 1패를 기록한 것처럼 보이나 그 한 번의 패배가 과세관청입장에서는 뼈아플 것이다. 과거의 경험에 비춰 보았을 때 과세관청은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패배에 대한 설욕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과세관청과 납세자간에 다툼의 원인이 된 증여세 과세 이후에 개정된 상증법 제4조 1항 제6호(이하 ‘완전포괄주의’)를 원용해 과세를 유지하는 방법이 있다. 완전포괄주의는 증여세의 과세를 열거한 경우와 경제적 실질이 유사한 경우 등에 대해 증여재산의 가액을 계산할 수 있는 경우 증여세의 과세가 가능하다고 적시한 조문이다.

과세관청이 납세자에게 2014년 증여에 대해 과세를 한 것이고, 완전포괄주의는 2015년 12월에 상증세법 개정을 통해 생성됐기 때문에 2015년 12월 이후의 과세에 대해서는 완전포괄주의에 따라 과세 유지가 가능하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대법원 판결 이후의 과세를 견고히 하기 위해 상증법의 추가적인 개정을 통해 쟁점조항을 보완해 과세를 유지하는 방안도 있다.

재산가치증가사유의 범위를 확대해 법령에 구체적으로 적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쟁점조항에 따른 과세 범위를 확대해 과세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있다.

반면 과세관청의 1번의 승리는 과세관청의 강력한 창으로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과세관청은 이후에도 간접적인 재산가치증가에 대해 쟁점조항을 근거로 증여세를 적극 과세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간접적인 재산가치 증가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볼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부동산 시행사를 운영하는 이들에게 “세무사님, 제 자식을 법인 주주로 넣은 다음에 해당 법인으로 시행을 해도 괜찮을까요?”라는 비슷한 질문을 매번 받는다.

자식을 주주로 참여시켜 법인의 가치를 키우는 것은 증여의 방법 중 상당히 세련된 형태임이 분명하다. 다만 과세 이슈가 있을 뿐이다.

현재 시행법인 관련 증여세 과세와 관련해 대법원에서 명확히 정리된 사안은 없지만 세무조사가 나온다면 증여세를 과세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법원도 시행에 따라 법인의 주식가치 증가분에 대해 과세가 가능하다고 판시한 바 있다.

시행의 범위를 행정청의 개발구역 지정 및 고시가 수반된 것을 말하므로 단순히 건물을 지어서 파는 것은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보지 않을 가능성이 다소 높지만 상증법 완전포괄주의에 따라 과세 리스크는 분명 존재한다.

2차례에 걸친 대법원의 판결로 인해 안개 속에 있었던 쟁점조문과 관련한 과세 쟁점이 어느정도 수면 위로 올라왔다.

납세자 입장에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과세에 대해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 과세가 되었다면 조세불복을 통해 구제 가능한지에 대해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황범석 세무사 약력>

(현) 세무회계필승 대표세무사

(현) 한국세무사회 조세제도 연구위원

(전) 국세청 본청 조사국 겸임교수

(전) 중부지방국세청 분당세무서 납보실 실장

저서 『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실 25시』 『절세컨설팅의 숨겨진 비밀』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