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원 해양과학과 교수(왼쪽)와 장숙진 BK21 정밀의학·스마트공학 융합연구단 박사. [사진=인하대학교]
김태원 해양과학과 교수(왼쪽)와 장숙진 BK21 정밀의학·스마트공학 융합연구단 박사. [사진=인하대학교]

[이뉴스투데이 김국진 기자]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김태원 해양과학과 교수가 운영하는 해양동물학연구실 연구팀이 한국 바다거북의 유전자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서태평양의 바다거북 유전자 구성 지도를 재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김태원 교수 연구팀은 바다거북의 기원을 확인하기 위해 ▲장숙진 인하대학교 BK21 정밀의학·스마트공학 융합연구단 박사(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 ▲김병엽 제주대학교 교수 ▲미국의 조지 발라즈(George Balazs) 박사 ▲일본의 니시자와 히데아키 교수 등과 함께 국제 연구팀을 조직했다.

국제 연구팀은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특별연구프로젝트 지원을 받아 지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도에서 혼획·좌초된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등 31마리로부터 유전자 샘플을 얻었다. 이어 모계 유전하는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타입(haplotype·부모의 한쪽으로부터 물려받아 함께 유전하는 한 묶음의 유전자 집합)의 혼계 분석법(mixed stock analysis)을 활용했다.

연구 자료. [사진=인하대학교]
연구 자료. [사진=인하대학교]

분석 결과 제주도의 푸른바다거북은 상당수 일본 열도의 산란지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했으며, 붉은바다거북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추가로 분석한 위성추적자료에서도 제주도를 떠난 바다거북이 일본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됐지만, 제주도에서 위성으로 추적한 푸른바다거북의 60%는 그대로 서식지에 머무르는 것을 발견했다.

김태원 교수는 “국내 바다거북의 상당수는 일본에서 기원했지만 제주 앞바다까지 먹이를 구하러 왔다가 해당 지역의 따뜻한 기후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구온난화 현상의 하나로 보이며 앞으로 더 많은 바다거북의 북상이 예상되는 만큼 보전하기 위한 세계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해양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프론티어즈 인 마린사이언스(Frontiers in Marine Science)’ 2024년 특별호에 게재됐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