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예상보다 더딘 물가상승률 하락 속도와 여전히 높은 률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에 찬물을 끼얹으면서 연내 금리인하 시점 연기 또는 무산 가능성이 제기된다.

3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무산된 이후, 6월 인하설이 대두되고 있지만, 예상보다 높은 경제지표가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일각에선 인플레이션 재확산 우려도 나온다.

미국 노동통계국이 집계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PPI)도 0.9% 오르면서 시장 전망치(0.6%)를 웃돌았다.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도 1년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물가가 서비스 중심으로 고공행진 중인 데다, 인플레이션이 끌어올린 임금 상승세도 여전하다.

시장에선 이달 6일과 7일(현지시간)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 의회 발표에서 강경한 발언이 나올 경우 6월 금리인하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인플레에션 감축법(IRA), 반도체지원법 등이 고용률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주요 기업의 미국 내 생산시설 증설로 현지 채용을 확대하면서다.

미국의 금리인하가 늦어질 경우, 국내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뒤로 밀린다.

미 연준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려서 격차를 벌리기는 부담이 되면서다. 한‧미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2%p까지 벌어진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불안한 국내 물가도 선택지를 좁히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8%로, 6개월만에 2%대로 내려오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은의 첫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상반기 연준의 금리 인하 후, 7월 이후가 거론됐지만 미국의 인하 시점이 늦춰지면서 연내 인하를 어렵게 보는 시각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먼저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당초 7월 인하설은 연준의 3월 피벗 가능성을 염두에 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물가상승률, 임금상승률 등으로 6월 인하 가능성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고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예상되고 있다”면서 “연준이 하반기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우리나라는 빨라야 내년 초에 통화정책을 전환할 수 있지 않을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4일 금융감독원은 이복현 금감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경제지표 모니터링 등 대응계획을 점검했다.

미 연준이 앞으로 발표되는 데이터에 기반해 금리인하 경로를 결정할 수 있어서다. 이번주부터 발표되는 2월 고용지표와 소비자물가지수 추이에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