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정부가 소비자물가 안정을 강조하며 경기회복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지만,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체감 물가)의 상승으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반년 만에 2%대로 내려왔지만, 가격 인상을 억제한 품목의 한시적인 상승폭 둔화일 뿐 실물 경제 지표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이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기저효과로 치부되고 있다.

금융권과 학계에선 “지난해까지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이 이어진 까닭에 상승폭이 줄었을 뿐, 물가수준은 예년과 비교해 오름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상승폭이 둔화됐다고 해도 지난해 오른 가격을 기준으로 하기에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물가 안정의 시기를 논하려면 현재 시점의 상승폭 둔화가 아닌 평년 수준의 물가 회복이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에서도 설 명절을 앞두고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면서 “물가안정을 위해 대책을 내놓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만큼 한시적이 아닌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2일 정부는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중동지역 불안을 경계하며 2~3월 물가가 3% 내외를 예상했다. 한국은행도 지정학적 정세, 국내외 경기 흐름 등을 이유로 일시적 소비자물가 오름세 전환을 전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였다. 지난해 10월(3.8%)까지 올랐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3.3%)과 12월(3.2%)에 이어 1월에도 하락세다.

다만 글로벌 유가 상승이 물가상승률 둔화에 영향을 준 석유류 가격이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고 있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전달보다 5.0% 내리면서 전체물가도 하락했다.

반면 농산물은 15.4% 오르며,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렸다.

지난해부터 고공행진 중인 사과, 배 등 먹거리 물가 부담에 정부가 수입 관세 면제 등 대책을 내놨지만,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되고 있다.

1월 물가상승률 2.8%가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동결에 따른 효과로 향후 요금이 인상될 경우, 그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한국전력‧가스공사의 재무건전성과 실적 악화로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지자 지난해 11월 산업용 요금을 올렸을 뿐이다.

가스요금은 지난해 5월 이후 추가 인상은 없었다. 2022년 가스요금은 4‧5‧7‧10월에 걸쳐 4차례 인상된 바 있다.

최근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도 불안이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요르단 내 미군 기지에 대한 드론 공격에 첫 미군 사망자 발생으로 인한 대규모 보복 폭격 때문이다.

확전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불안감이 커지면서 한때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넘어서며 상승세로 전환됐다.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와, 국내 물가 상승 요인에 올해 경제회복 기대감도 낮아졌다. 장기화된 경기침체에 물가까지 오르면서 내수 경기 회복을 장담할 수 없어서다.   

학계 관계자는 “지난 3개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이 크다”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등 물가 상방 요인이 남아있고 4월 총선 이후, 그동안 억제되던 생활물가까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