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픽사베이, 재구성]
[이미지=픽사베이, 재구성]

[이뉴스투데이 염보라 기자] 정부가 띄운 주가순자산비율(PBR) 테마가 국내 증시를 뒤흔들면서 대표 저PBR 종목으로 분류되는 금융주에도 모처럼 온기가 돌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의 관심 속에 52주 신고가를 연일 경신 중인 가운데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도 높다.

3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2월 2일까지 24거래일간 KRX지수 등락률 상위 종목은 모두 금융이 차지했다.

KRX보험(16.24%), KRX은행(15.88%), KRX300금융(15.11%), KRX증권(9.29%) 순으로 1~4위권을 형성했다.

동기간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각각 2.04%, 7.30% 미끄러지는 등 전반적으로 위축된 분위기 속에서 나타난 상승세다.

금융주는 지난달 1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민생토론회에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발표 이후 상승곡선을 타기 시작했다. 

기업 밸류업은 PBR가 1배 미만이면서(저PBR)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밝히지 않은 기업을 집중 관리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드러낸 제도다.

앞서 일본 정부는 대대적인 저PBR 관리를 통해 주주환원 정책 등 기업의 다양한 주가 부양 노력을 이끈 바 있다. 그 결과 닛케이225와 토픽스는 3개월 만에 각각 18%, 14%씩 상승했다.

한국의 경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금융주 중심의 강세가 나타났는데, 특히 △메리츠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NH투자증권 등이 13거래일 중 11거래일 상승세를 이어갔다.

1년 중 주가 고점을 의미하는 ‘52주 신고가’ 기록도 연일 썼다.

가장 최근 거래일인 2일에는 △KB금융(8.16%) △DB손해보험(7.94%) △하나금융지주(7.50%) △신한지주(6.59%) △키움증권(4.28%) △미래에셋증권(3.98%) △삼성화재(3.28%) △삼성생명(3.16%) △삼성화재우(2.96%) △메리츠금융지주(2.43%) △우리금융지주(2.08%) △NH투자증권(1.44%) △흥국화재(1.37%) △기업은행(0.84%) △NH투자증권우(0.59%) △대신증권2우B(0.29%) △부국증권우(0.25%) △신영증권(0.16%) △신영증권우(0.16%) △한국금융지주(0.15%) 등 무려 20개 금융주(우선주 포함)가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눈에 띄는 특징은 올 초 매도 우위 태도를 취했던 기관과 외국인이 앞다퉈 담고 있는 점이다.

올해 들어 기관은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 △메리츠금융지주 △기업은행 등 은행·금융지주와 함께 △현대해상 △삼성카드 △한화생명 △미래에셋증권 등 비은행주를 고르게 담았다.

외인 역시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카카오뱅크 △기업은행을 비롯해 △삼성생명 △DB손해보험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등을 순매수하며 금융주에 상승 배팅을 했다.

[이미지=픽사베이]
[이미지=픽사베이]

정부발 저PBR 수혜 종목은 금융만이 아니다.

투자자 사이에서는 PBR이 1배 미만이면서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는 종목 찾기가 한창이다.

일례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는 2월 평균 거래량(2만1955주)이 1월(1656주) 대비 약 13배 상승하며 다양한 저평가 가치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방증했다.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는 하나금융지주, 삼성생명 등 금융주를 비롯해 꾸준히 시가배당률을 늘리는 종목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증권가는 정부가 띄운 PBR 테마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종목 선별 시 ‘실적’ 기반 접근을 당부했다. 

김대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저PBR 업종으로 대표되는 금융업종이 특히 월말 강세를 보였으나 중요한 점은 실적 성장 기반 주주가치 제고가 중요한 포인트”라면서 “실적 성장이 담보되는 기업은 향후 추가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테마가 아닌 실적이 성장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역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 영향으로 PBR 1배 미만의 저평가 주식을 중심으로 단기 모멘텀이 발생했지만 이게 지속가능한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 그리고 이를 지탱하는 국내외 경제가 지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