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뉴스투데이DB, 그래픽=고선호 기자]
[사진=이뉴스투데이DB,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당국의 대손충당금 적립 압박에 금융권의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은행권의 부실위험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한 자금 비축에 신규 먹거리 창출을 위한 여윳돈이 묶일 수밖에 없다. 

금융권에선 당국의 전방위 압박에 충당금을 쌓기보단 부실채권 매각확대를 전망하고 있다.  당국의 요청대로 충당금 적립을 보수적으로 할 경우, 올해 실적 전망이 밝지 않고 신사업까지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대손충당금 산정 체계 강화와 손실 흡수력 확대로 시장충격에 대비를 요청해왔다”면서도 “다만 업권에서는 사실상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정리를 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충당금은 회계상 회수불능 추산액으로 결산 시 손실로 계산,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순이익 감소 등으로 신사업 추친에도 제동이 걸린다. 

반면 부실채권을 매각하면 원금손실은 불가피하지만 건전성 지표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당국의 압박은 부동산PF 연체율이 지난해 2배 이상 급등하는 등 위험성이 커졌지만, 부동산 경기회복을 기대한 금융사가 만기 연장 등을 통해 잠재 부실만 키웠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기준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연체율은 2.42%로 전년말(1.19%) 대비 1.23%포인트(p) 올랐다. 대출잔액은 134조3000억원이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PF연체율은 2.05%에서 5.56%로 3.56%p 급등했다.

반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은행 등 5대은행의 연체율은 우려되지 않지만, 증가율은 무시할 수 없다.

지난해 11월말 5대 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전년말 524억원의 2배 넘게 증가했고 같은기간 연체율은 0.26%에서 0.45%로 1.7배 뛰었다. 전체 대출잔액은 23조2400억원이다.

금융권에선 당국의 부동산PF 부실 사업장 정리수순에 제2금융권의 부담을 우려했다.

당국이 PF 전환이 안되는 브릿지론 등 사업성이 없는 부동산PF 사업장의 예상손실을 100%로 인식해 충당금 적립을 요구하면서다.

충당금 적립 부담에 해당물건이 경‧공매로 나올 경우, 후순위 채권자인 제2금융권은 원금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해 캠코 주도로 조성된 PF정상화펀드의 성과가 전무한 가운데 원금손실을 우려한 금융사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았다”면서 “당국이 부동산PF 옥석가리기를 공식화하고 은행권에 압박을 확대하면서 시중은행보다는 저축은행의 부담이 커졌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PF 부실 사업장 정리는 사실상 후순위 채권자인 저축은행의 원금 회수를 포기하라는 말과 같다”면서도 “다만 충당금 적립 부담은 줄고 건전성지표가 개선되면서, 경영정상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당국은 부동산PF 대출과 관련해 장기간 미착공 상태인 브릿지론은 100% 손실로 보고 충당금 적립을 주문했다. 적립률은 정상 2%, 요주의 10%, 고정 30%, 회수 의문 75%, 추정 손실 100% 등이다.

PF로 전환된 사업장이라도 공사가 지연되거나 분양률이 미진한 사업장 역시 충당금 적립을 강화해야 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