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지난해 말부터 수출을 중심으로 기대되던 경기회복 시점이 갈수록 늦어지고 있다. 예상보다 더딘 물가 둔화세에 소비침체로 인한 내수경기 악화, 부동산 시장 침체에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도 낮아졌다.

견조한 한국과 미국의 고용 지표도 부담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경기둔화에도 실업률은 역대 최저 수준인 2.7%를 기록했고 미국 역시 신규고용이 3개월 연속 지속 증가하며 12월 실업률 3.7%로 나타났다.

고용시장 강세는 임금 상승률을 견인하며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를 더디게 할 수 있다.

시장에 풀리는 자금이 많아지면서 물가까지 높아진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꾸준히 과열된 고용시장을 경계해 왔으며 금리인하 시점은 고용과 물가안정을 전제로 했다.

지난 연말부터 이어지던 미 연준의 피벗 기대감이 급격히 둔화되는 배경이다.

특히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월 3.4%로 연준의 물가안정목표 2%에 비해 여전히높은 수준이다. 전월 3.1%에 비해 0.3%포인트(p) 올랐고 시장 기대치 3.2%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때 미국의 금리인하가 3월부터 시작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컸으나 견조한 경제지표와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 하반기 이후, 금리인하가 전망되고 있다.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3월 금리인하 기대감을 낮추기 위한 소통을 지속하고 있고, 지난주 비둘기파 성향으로 알려진 애틀란타 연준 총재 역시 3분기 금리인하가 적절하다는 판단을 제시했다”면서 “연초 확인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와 소매판매, 지난주 확인된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등이 연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기록하면서 시장도 수긍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도 “미 연준의 긴축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가 개선되는 등 미국의 경제지표는 견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의 3월 금리인하 기대감은 후퇴했다”면서 “1월 들어 나온 경제지표가 견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3월 인하 가능성은 49.3%까지 하락한 반면, 동결 가능성은 50.7%까지 상승했다”고 밝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중동정세 불안정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남아있다. 물류 불안에 원유‧원자재 수급이 차질을 빚게 되면 국내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11일 이란 해군의 미 유조선 세인트 니콜라스호 나포 이후, 국제유가가 출렁이고 있으며, 해상통로 불안은 물류비 상승 등 공급망 위기를 키우고 있다.

1월 한국은행 금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사진=한국은행]
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다.  [사진=한국은행]

시장에선 7월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지만, 한미간 금리차, 대내외 불안정성은 기대감을 낮추는 요인이다.

다만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위축된 투자와 소비가 우리 경제 성장을 제약할 수 있어 금리인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가 올해 경제정책방향 초점을 수출보다 내수 활성화에 맞춘 이유도 경제회복을 견인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한미간 금리차가 2.0%로 사상 최대인 점이다. 역대급 금리차에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환율 급등을 우려한 한은의 선제적 인하가 어려운 만큼 미국의 금리인하 시점 지연은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전환 시기도 늦추게 된다.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도 물가안정에는 부정적이다. 뇌관이 당겨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을 위해 100조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이지만 시장에 돈이 풀리게 되면 물가 안정은 어려워진다.

올해 하반기까지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한은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연내 금리인하는 기대할 수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미간 금리차가 역대급으로 벌어지면서 한은이 먼저 금리인하를 단행하기는 부담이 큰 상황”이라면서 “최근 연준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가 꺾이면서 7월 한은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도 늦춰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계부채, 부동산PF 등 산재한 문제와 경기불확실성 등으로 연내 기준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면서 “연준의 하반기 이후 2~3차례 금리인하가 결정된 후 내년부터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도 시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기준금리 인하시기에 대해서는 물가 목표 달성 시기로 못 박았다. 금리인하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고 경기회복 기대에 부동산을 자극하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어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월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섣불리 금리인하에 나설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하면서 물가상승률이 다시 높아질 수 있고 현 상황에서는 금리인하가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보다 부동산가격 상승기대를 자극하는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경계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