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종현 기자] 그간 공기업들이 속속 민영화 작업을 거치면서, 일부는 특정 대기업의 몫이 되거나 또는 국민기업으로 탈바꿈시켜 민간 자본을 대거 끌어들이는 과정을 통해 일명 소유분산기업들이 탄생했다.

문제는 이들이 주도적 지배구조를 확립하지 못하면서 수장 자리를 놓고 매번 정치권의 외압이 작용하고 있다. KT그룹이나 포스코그룹은 대표적 소유분산기업으로 그간 정권이 바뀌거나 할 경우 잔여 임기와 상관없이 수장들이 물러나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 같은 외압 정치는 현 정부 들어서면서도 유사하게 벌어지고 있다. 실제 정치권을 중심으로 지난해 주총에 맞춰 KT를 비롯해 포스코 측에 수장 교체를 강하게 밀어붙인 바 있다.

특히 KT그룹은 수장 자리를 놓고 진통을 겪었다. 구현모 전 대표이사가 연임 의사를 내비치자 국민연금이 직접 나서 반대를 표명했고 결국 2차례에 걸쳐 신임 대표이사 선출에 나서는 등 장장 8개월간 수장 없는 공백 사태를 겪으며 홍역을 앓았다.

더욱이 국민연금은 구 전 대표이사를 포함에 두 차례나 구두개입에 나서며 사실상 KT그룹이 정립해온 대표이사 선임 제도의 판 자체를 깨버린 역할을 했다.

이 같은 모양새가 또다시 포스코그룹에도 연출되고 있어 소유분산기업의 불확실성의 단면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지난해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외압에도 불구하고 잔여 임기를 지키겠다며 버텨왔다.

그 여파는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 해외 순방길에 국내 재계 순위 5위에 오른 포스코그룹을 단 한 차례도 부르지 않는 일명 ‘포스코 패싱’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차기 신임 회장 선임을 두고 포스코그룹 안팎에서 긴장감이 돌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CEO후보추천위원회는 지배구조 개선안에 맞춰 셀프연임 제도 폐지 및 공정성 강화 등 차기 회장 후보 리스트를 추리고 있지만 이 역시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우선 포스코홀딩스 지분 5% 이상을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이 나서서 판 흔들기를 시작했다. 이에 결국 최 회장은 후보에서 제외되면서 연임의 꿈을 접었다.

외압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경찰 수사를 앞세워 후추위를 맡고 있는 사외이사의 신뢰성 흔들기에 나서고 있다. 이는 결국 정권의 전리품으로 여겨왔던 소유분산기업들의 수장자리를 두고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 같은 주도권 전쟁에서 결국 피해는 주주들의 몫이라는 점이다.

실제 이들 소유분산기업에 대해 정부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국민연금을 통해 간접 영향력을 행사할 뿐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분 가치 하락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실제 KT그룹의 경우 2023년 3월 구 전 대표가 사퇴하자 주가는 전년 말 대비 13%나 폭락하기도 했다. 당시 KT 주주총회에서는 소액주주들이 욕설과 고성이 오가며 거세게 반발하기로 했다.

이 같은 현상은 포스코그룹에서도 재현되고 있다. 최 회장이 후보 제외 소식이 나오자 같은날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8% 하락한 47만2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후에도 맥을 못추고 있다.

결국 ‘정치 리스크’로 흔들린 소유분산기업들은 기업가치 하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몫은 오로지 소액주주들의 투자 실패로 귀결될 뿐이다. 누구를 탓해야 할까.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