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뉴스투데이DB, 그래픽=고선호 기자]
[사진=이뉴스투데이DB,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개시로 고비를 넘겼지만, 건설업계의 부동산PF 부실 우려로 제2금융권에 불똥이 튈 전망이다.

당장 급한 불은 꺼졌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건설사의 부실 가능성이 커졌고 PF 비중이 크고 후순위 채권단인 저축은행 등은 위기를 극복할 마땅한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고금리 여파가 지속되고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서 건설업계의 연체율‧부실채권 비율은 악화되고 있다. 건설업계발 부실이 금융업권으로 이어지면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PF 규모는 202조6000억원으로 이중 금융권에서 16조5000억원을 직접 대출했다.

유동화증권은 42조1000억원이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밝힌 163조4000억원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고금리에 부동산 경기까지 악화되면서 부동산PF 관련 연체율은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건설‧부동산 관련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각각 5.51%, 3.99%로 전년대비 3.1배(1.77%), 2.6배(1.5%) 뛰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저축은행에서 건설업 7.34%, 부동산업 5.97%다. 전년 대비 3.3배, 2.4배 수준이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총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대출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부동산PF 사업자의 ‘옥석가리기’를 공식화한 만큼 부동산사업장과 함께 원금 회수가 불가능한 저축은행의 구조조정도 불가피해졌다.

PF대주단 협약에 적용되는 197개 부동산PF 사업장 중 상당수가 사업성이 확보되지 않으면서 경공매로 정리가 예정된 가운데, 부동산 대출에 치중한 저축은행의 영업 행태도 지적된다.

지주계열 또는 부동산PF 비중이 낮은 저축은행의 경우 부담이 크지 않지만, 자본여력이 부족한 중소형 저축은행은 함께 정리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문제는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부동산PF가 위험성이 높은 브릿지론과 후순위 대출비중이 높아 손실 우려가 큰 데 있다. 자기자본 대비 과도한 비중도 지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PF 부실 여파가 금융권으로 이어질 경우, 지난 2011년 뱅크런 사태의 재현이 우려된다”면서 “정부가 PF대주단 협약을 통해 만기 연장을 유도하고 있지만 사업성이 떨어진 건설사의 최종 손실 처리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중은행의 경우 1순위 채권자로 원금 회수가 가능하겠지만, 후순위 채권자인 저축은행을 포함한 제2금융권은 건설사의 부도 여파를 고스란히 맞게 될 것”이라면서 “부실을 줄이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민주당)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말 전체 금융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잔액은 608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