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극지연구소]
[사진=극지연구소]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동물플랑크톤의 일종인 화살벌레가 5억년 전 바다에서는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극지연구소는 북극에서 찾은 화석을 분석해 화살벌레의 과거 모습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화살벌레는 현생 바다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동물플랑크톤이지만, 그동안 진화 과정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3cm 미만의 현재 크기를 고려했을 때 미세 플랑크톤들을 잡아먹는 하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연구소의 설명이다.

박태윤 극지연구소 박사가 주도하고 영국·덴마크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북위 82도에 위치한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Sirius Passet) 화석산지에서 평균 길이 10~15cm, 최대 30cm에 이르는 원시 화살벌레 화석 13개를 찾았다.

연구팀은 거대 원시 화살벌레 화석 내부에서 다른 절지동물들의 파편 화석들을 발견하고, 약 5억년 전 화살벌레가 다양한 해양 동물들을 잡아먹던 거대한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학계에 보고된 적 없는 이 신종 화석에 취식 특징을 고려해 ‘티모레베스티아-코프리아이’라는 라틴어 학명을 붙였다. 티모레베스티아(Temorebestia)는 ‘공포스러운 괴물’을, 코프리아이(kopri-i)는 연구를 주도한 극지연구소의 영문 이니셜(KOPRI,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는 전자현미분석기를 활용한 화석 표면 분석 기술이 쓰였다. 극지연구소에서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로, 최대 5억2000만년 전 생물의 내부 장기와 근육다발 구조 등을 찾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 화석산지는 2022년 국제지질연맹 (IUGS)에서 세계 100대 지질유산으로 선정한 곳으로, 현재 극지연구소만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논문의 제1저자 겸 교신저자인 박태윤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5억년 전 화살벌레는 먹이를 씹어 먹는 다른 포식자들과 달리 통째로 삼키는 최초의 포식자로 추정된다”면서 “먹잇감들이 ‘공포스러운 괴물’을 피해 어떤 생존 전략을 꾀했을지, 당시 생태계 진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