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GIST]
[사진=GIST]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유승준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윤명한 교수, 이동욱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해질(용매+염)에서 염의 농도를 변화시켜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주요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슈퍼커패시터는 화학반응을 이용한 리튬계 배터리와는 다르게 전극과 전해질 계면에서 이온들의 물리적 흡·탈착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다. 일반 커패시터에 비해 축전 용량이 훨씬 크고 에너지 밀도가 높다. 따라서 울트라커패시터 또는 초고용량 커패시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급속 충·방전 시 △높은 전력 공급 대비 낮은 열 발생 △반영구적인 사이클 수명의 이점이 있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으며, 급격히 높아지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태양광·풍력과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사용 증가로 슈퍼커패시터에 대한 수요 역시 늘고 있다.

기존 슈퍼커패시터에 사용되고 있는 가연성의 유기 용매 기반 전해질은 폭발의 위험과 환경 문제 등의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폭발의 위험이 없고 친환경적인 물 기반의 수계전해질을 이용한 에너지저장장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물은 1.24V에서 전기 분해돼 작동전압을 넓히기 어렵고, 0℃에서 얼기 때문에 겨울철 에너지 저장 성능을 내는 데 한계가 있어 상용화 연구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넓은 작동전압, 안정적인 SEI, 적절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초고농도 수계전해질(WiSE)을 사용해 기존 수계전해질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왔으나, 고농도 전해질에 대한 고려 없이 성능 개선에만 초점을 맞췄을 뿐 체계적인 분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가격이 저렴한 포타슘 아세테이트(KOAc) 기반 초고농도 수계전해질 내 이온-이온간, 이온-물분자간 물리화학적 상호작용 및 전해질의 농도별 구조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다공성 전극 표면에서의 흡·탈착 거동을 밝혀냄으로써 이온전도도와 에너지 저장 특성이 최적화된 농도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 GIST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해당 결과를 토대로 초고농도 수계전해질의 상평형도를 제시했으며, 영하 20℃에서도 얼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수계 슈퍼커패시터도 개발했다. 초고농도 수계전해질의 농도를 최적화해 수계슈퍼커패시터를 만드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이번 연구 성과는 향후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센서 등 고성능 수계 전자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유승준 교수는 “초고농도 수계전해질 내 구성 요소의 물리화학적, 구조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다공성 탄소전극 표면에 이온의 흡·탈착 거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염의 농도 변화만으로 에너지저장 특성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기존에 사용되는 염 혹은 향후 개발될 전해질 최적화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