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서비스의 줄이은 가격인상에 나선 가운데 이동통신사가 OTT와 함께 출시한 결합요금제에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이뉴스투데이 DB, 그래픽=이승준 기자]
OTT서비스의 줄이은 가격인상에 나선 가운데 이동통신사가 OTT와 함께 출시한 결합요금제에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이뉴스투데이 DB, 그래픽=이승준 기자]

[이뉴스투데이 유은주 기자] 최근 넷플릭스, 유튜브, 티빙 등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OTT)이 줄이은 가격인상에 나선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이 고심에 빠졌다. 이들과 결합 요금제를 출시했으나 자사의 요금제에 가격인상분을 반영하지 못 해서다.

통신사가 요금제에 가격 인상분을 즉시 반영하지 못하는 데는 정부의 강경한 통신비 인하 정책이 주된 배경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통신3사는 바로 통신비를 인상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OTT 요금의 인상분을 반영해 요금제의 기본요금을 올린다면 자칫 통신비 인상으로 여겨질 수 있어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업계 중론이다.  

반면 일각에선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요금인하 압박이 확대되며 5G 가입 정체와 수익 악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계속해서 요금을 유지할 수도 없어 장기적으로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동통신사들은 넷플릭스 등 방송시장의 변화에 따라 OTT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결합요금제를 앞다퉈 출시해 왔다. 실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은 가입자가 확대되고 통신사는 매출이 증가하는 등 서로에게 득이 되는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OTT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해당 서비스와 통신 요금제를 결합할 경우 가입자 유치는 물론 가입자당 평균매출을 일컫는 ARPU 수치도 늘릴 수 있었다. 

먼저 SK텔레콤은 5G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고객을 대상으로 ‘우주패스 ALL/LIFE’를 통해 웨이브, 플로 중 원하는 상품을 골라 혜택을 제공해 왔다. KT는 온라인 다이렉트 요금제 가입자에 한해 OTT 무료 서비스를, LG유플러스도 무제한 요금제 5G 프리미어 레귤러 요금제 이상인 경우, 사용자 선택 기반 맞춤 혜택의 카테고리팩을 선보였다. 

그러나 제휴 서비스들은 프로모션을 통한 가입자 확대, 매출 증대에는 효과적이었을지 몰라도 지속적인 OTT 요금 인상은 부담으로 돌아왔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인상 우려에 대해 “업계가 당장 요금을 올릴 계획은 없다고 알고 있다”며 “해당 서비스들은 수익이나 이익을 위한다기보다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등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 등을 상대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까우며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려는 통신사의 혜택의 일종”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정부의 통신비 인하정책에 발맞춰 다양한 중간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는 통신사의 업황이 점차 악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신3사의 지난 3분기 경영실적을 살펴보면 SKT를 제외한 KT, LG의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어지는 4분기 경영실적 전망도 밝지 않다.

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MNO 휴대폰 가입자, 5G 가입자 순증 폭, 물가 상승폭 등을 감안할 때 올해 이익전망이 부정적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과기정보통신부의 권고를 통해 마련된 다양한 5G요금제 출시 등도 이동전화 매출액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게 주된 의견이다. 

실제 지난 2021년 넷플릭스는 구독요금 가운데 프리미엄 요금제를 2500원 인상한 바 있다. 이때 KT와 LG유플러스는 약 1년의 시간을 두고 IPTV 요금을 넷플릭스의 인상폭만큼 반영했었다. 

이에 한 업계 관계자는 “통신사와 OTT 플랫폼은 서로 합의한 계약을 통해 기준을 정해놓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가격 인상은 통신사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애초에 번들 제품이나 결합상품을 만들 때 계약한 내용이 있는데 다른 하나의 상품 가격만 올려버린다면 그 전체 번들 가격이 오르는 건 당연한 이치”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당장에 가격 인상을 할 계획은 없다”며 “예전 사례를 살펴보면 OTT의 가격 인상은 고객들에게 부담이 되기에 당장 가격인상을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확한 내부계약을 알 수 없지만 해당 결합 요금제의 경우 고객의 선택 다양성 확보를 위한 서비스”라고 전했다. 

미디어업계 관계자는 “주요 OTT들이 가격인상을 하는 가운데 통신사들과 번들로 요금이 서로 묶여있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통신사의 가격 인상은 어쩔 수 없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어 “OTT 서비스도 부당 이익을 편취하려는 것보다 내부 사정이 있기에, 정부 등의 무조건적인 가격 인상 제재보다는 OTT 서비스 구독 소득 공제 등을 통해 소비자를 위하는 상생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최근 문체부가 영상산업발전 계획 등 방안을 통해 소비자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노력이 뒷받침되야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불만도 나온다. 한 사용자는 “OTT 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 통신사와 결합된 요금제를 사용해 조금이라도 통신비를 절약하려 했는데 오히려 가격이 인상된다면 해당 요금제를 사용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사용자는 “이럴거면 차라리 저렴한 OTT요금제와 최저 요금제, 알뜰 요금제를 따로 쓰는 게 낫지 않냐”며 “해당 OTT를 반드시 볼 것이라면 상관이 없지만 마음에 들지 않으면 더 좋은 혜택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거나 인상과 함께 업그레이드된 혜택이 있지 않다면, 오른 가격으로 굳이 통신사와 결합된 OTT를 구독해야 할지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022년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법을 통해 OTT를 미디어로 분류하고 규제를 확대하려 했으나 이는 시행되지 못했다.

OTT서비스의 경우에는 유료방송 사업자와는 달리 요금개편에 대해 신고하거나 사전 고지해야 하는 법적 제재가 없는 한계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다양한 시청각미디어 서비스의 공존을 위한 법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