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 메가플랜트 운영을 앞두고 대규모 인력 확보를 예고하자 삼성바이오로직스로서는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 됐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인력 확충에 대한 갈증이 지속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마찰로 확산됐기 때문이다.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 메가플랜트 운영을 앞두고 대규모 인력 확보를 예고하자 삼성바이오로직스로서는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 됐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인력 확충에 대한 갈증이 지속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마찰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바이오 업계에서 법적 공방을 불사하는 인력 쟁탈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독 두 기업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3년 차를 맞이하고도 여전히 인력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인력 피탈을 경계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간의 신경전이 계속되는 분위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 업계는 전반적으로 인력난에 허덕이는 양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산업의 인력 부족 비율은 전체 인력 부족 산업군의 2위에 해당한다. 앞서 한국바이오협회가 기업 2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경영 애로사항 2위로 ‘인력 확보’가 꼽혔다.

대기업인 롯데바이오로직스도 인력난을 피해가지 못 했다. 올해 설립 2년 차를 맞은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6월 회사 설립 후 반년 만에 임직원 수를 50여명에서 100여명으로 늘렸지만 여전히 충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력을 끌어모으기 위해 임원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스톡옵션 부여 대상을 전 임직원으로 확대하는 등 파격적인 정책을 내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후발주자로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올해 임직원 수를 대폭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동종업계(CDMO) 선발주자로 꼽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의 임직원수는 각각 4600여명·2000여명에 달한다. 최대 46배까지도 차이가 나는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인천 송도 메가플랜트 운영을 앞두고 대규모 인력 확보를 예고하자 삼성바이오로직스로서는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 됐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인력 확충에 대한 갈증이 지속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마찰로 확산돼서다.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롯데바이오로직스로 이직하려던 자사 직원을 ‘영업비밀 관련 법률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측에도 관련 내용을 포함한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양측의 법적 공방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자사에서 롯데바이오로직스로 이직한 3명을 상대로 ‘영업비밀침해금지 가처분’ 신청을 낸 데 이어 지금까지 직·간접적으로 부딪힌 사례가 벌써 4건이다. 그중에서는 형사 고소로 이어져 직원 중 1명이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과 ‘업무상 배임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사례도 있었다.

두 기업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자 업계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인재를 육성하고 이직 간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법적 보호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져 나온다. 산업 특성상 인력이 곧 핵심기술인 만큼 이들이 이직하는 과정에서 기밀이 쉽게 흘러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산업 핵심에 해당하는 인력의 이직 과정에서 기업의 영업비밀이 노출될 수 있는데도 정작 법적·제도적 보호장치는 느슨한 편”이라며 “국가적으로 바이오 인재 육성에 더욱 주도적으로 나서고, 국가핵심기술에 대해서도 산업기술보호법 위반 요건을 명확히 하는 등 지금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서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인력 모집 과정에서 무리한 ‘꼼수’가 작용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일반적인 공개채용과 다르지 않다는 입장을 표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업계 평균 연봉을 제공하고 있으며, 롯데 계열사에서 이동하거나 타사에서 이직한 분들도 있다”며 “삼성 출신 비중이 높은 편도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인력 쟁탈전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의 경우 전문가 인력풀이 많지 않은데 설상가상으로 기업도 해외 전문가를 영입하기 위한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면서 “전문인력은 한정적인데 짧은 산업 태생 대비 발전 속도가 빠르고 성장성도 높아 경쟁사 간 핵심인력 쟁탈전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