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공통 R&D 인재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설명한 그림. [이미지=과기정통부]
특화·공통 R&D 인재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설명한 그림. [이미지=과기정통부]

[이뉴스투데이 유은주 기자] 정부가 한정된 R&D 인적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양성하고 활용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별 특화·공통 연구인력을 각각 양성하는 등 효과적 체계 구축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회 심의회의에서 확정한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국가전략기술 분야 인재의 질적 역량 향상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D기반 인재 정책이 담겼다. 

각 전략기술에는 특정기술 전문가뿐만 아니라 관련 엔지니어 등 광범위한 과학·공학인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범부처 인재정책은 직무나 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에 특정해 분절적으로 인재를 양성하는 한계가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전략기술 분야별 특허출원 데이터와 주요기업(삼성전자, LG화학, 현대차 등) 채용공고를 활용한 시범적 직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략기술마다 필요 인재가 완전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닌 각 기술군별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인력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특화·공통 R&D인재의 효과적인 양성체계 구축에 나선다. 

먼저 특화R&D 인재 양성의 거점기관으로 대학 또는 출연연에 전략기술 특화연구소(혁신연구센터 등) 설치·운영을 확대해 전략기술 분야 특성화 연구역량 축적과 석·박사급 연구인력 육성을 강화한다.

또 공통R&D 인재를 교육하는 특화교육기관 지원체계도 마련해 기술 트렌드를 따라가기보다 기반기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을 검토할 계획이다.

국가전략기술 인재의 유입 자체를 확대하기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젝트 및 학·석사 연계 교육도 추진할 계획이다. 

데이터 활용을 통한 인재 정책의 근거 기반도 강화한다. 현재는  R&D인재의 기술 분야별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가 부족해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은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R&D인재의 연구수행 과정부터 고용시장 진출까지의 흐름을 파악해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정보 분석체계를 마련한다. 

연구자의 국가 및 기관 간 이동성분석을 통한 성장흐름과 유출입 파악, 연구동향 비교분석에 나서며 기술인재의 공백 영역을 발굴한다. 

아울러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약 51만명에 고용보험 DB를 연계, 취업정보를 파악하며 세심한 인력정책을 수립한다. 

최고급 인재로의 성장을 위한 도약의 기회도 제공한다. 해외우수연구자와 우수연구기관과의 국제교류를 통한 역량강화를 위해 정부의 해외 연수지원 사업을 분야별·대상별로 체계화한 ‘(가칭)K starship’ 프로그램 운영을 추진한다.

그밖에 우수 외국인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해 국내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재가 영주권·국적을 간소화된 절차로 취득할 수 있는 ‘과학·기술 우수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 확대 적용도 검토한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날 심의회의에서 “국가전략기술을 선도할 최고급인재의 확보는 국가의 명운을 좌우할 최우선의 과제”라며, “이번 안건이 앞으로의 인재정책을 보다 효율화하고 과학화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