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달 워싱턴DC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지난달 워싱턴DC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과 주요국의 통화긴축 종료 기대에 금리 인하, 환율안정이 예상된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소비침체도 부담이 되는 까닭이다.

시장에선 내년 중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시장금리까지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장기화된 금리 인상 영향에 경기둔화가 가시화되면서 현 금리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안정적인 움직임도 금리 인하 여론을 키우고 있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3차례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있으나 시장의 의견은 갈리고 있다. 일각에선 3~6월부터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반면 내년 하반기에 2차례 인하를 전망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 등 시장의 불안정성이 해소되지 않았고, 내년 11월 예정된 미 대선도 변수로 작용하는 까닭이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풀린 시장 유동성이 대선으로 인해 재확산될 우려도 나온다.

특히 내년에는 76개국에서 선거가 예정된 만큼, 정치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표심을 얻으려는 선심 정책과 당선 후 공약 이행을 명분으로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어서다.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과 함께 국내 기준금리 인하도 점쳐지지만, 한‧미간 역대급 금리차로 한동안 현 수준을 유지하다가 수출 회복에 따른 무역수지 회복, 반도체 경기 개선 등 시장의 시그널이 확인된 후 완만하게 하락할 전망이다.

과열된 가계부채 역시, 국내 금리인하 시점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다. 지난해 2분기부터 가계대출 증가세와 연체율이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부동산 가격하락 등 시장 침체기에 금리 인하로 인한 가계부체 뇌관을 자극할 수 있다.

환율 역시 1300원대 박스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무역수지 개선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이 확대될 경우, 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지만 글로벌 분쟁 확대, 자원 무기화, 공급망 재편 등은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지난 10년간 유지되던 적정환율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자국을 우선한 공급망 재편이 수출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까닭이다.

국내에서 원재료를 수입해 완제품, 중간재를 수출하는 형태였다면 최근에는 양상이 달라졌다.

미국 내 생산기지 증설로 최대 수출국의 하나였던 미국이 생산국으로 전환되면서, 그동안의 수출 공식과 적정환율의 기준도 바뀔 수 있다.

코로나 이전까지 적정환율이 1200원 수준이었다면 향후에는 1400~1500원까지 예상되고 있다. 그나마 박스권을 형성한 1300원대 환율이 우호적이다.

학계 관계자는 “코로네 펜데믹 이후 공급망 재편과 자원 무기화 등 각국의 정책기조가 바뀌고 있다”면서 “글로벌 조달 비용과 원자재 가격 상승, 인력 수급 불안 등 다양한 요인이 겹치면서 적정환율이 한 단계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정세가 바뀌면서 환율이 예전보다 한 단계 높아질 수는 있지만 주요국의 통화긴축 종료로 변동폭은 완화될 것”이라면서 “환율의 적정선이 정해지면 수출기업도 그에 맞는 정책 등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