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경기회복 둔화·가계부채 부담에 직면한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30일)을 앞두고, 7연속 3.50%로 금리 동결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연초 상저하고가 전망됐으나 더딘 경기회복세와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확대에 금리를 올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도 잡고 가계대출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금리인상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기업·부채 뇌관(총량)을 커지고, 자금 유동성이 막혀 가뜩이나 위축된 경기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금리 인상 가능성도 줄어든 만큼 한미 금리차가 고려 대상이 되지 않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3.2%포인트 수준으로 둔화되면서 연준은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시장에선 ‘사실상 긴축이 종료됐다’는 시각이 우세하며 내년 2‧3분기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하고 있다.

최근 환율도 1300원대 전후에서 안정적이다.

한때 1440원대까지 올랐던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기대감이 반영되며 지난주 1280~1300원대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S&P 글로벌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49.4로 시장 전망치(49.8)를 하회했다.

금융권에선 인플레이션 경계와 가계부채 증가 우려에 매파적 동결을 전망했다. 다만 내년 물가 상승 압력이 약해지고 수출경기 회복 등 시그널이 나오면 금리도 인하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은이 이전 6차례 동결에서와 같이 가계부채와 부동산 PF 등 뇌관을 우려해 금리인상을 단행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연준이 금리를 2차례 동결하면서 긴축 종료가 예상되는 만큼 이전보다 부담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을 내놓지 않을 것 같다”면서 “부채증가가 우려되는 만큼 여전히 매파적 입장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제결제은행(BIS)도 주요 각국의 금리 인상 종료를 사실화했다.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24일 한은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단정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끝낸 상황이라고 본다”면서 “물가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국가들이 소위 말하는 연착륙을 달성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비자가 (고금리 상황에서) 더 높은 비용이나 가격 인상을 예상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대출이나 소비를 그에 맞게 수정하고 있다”면서 “금융 불안이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승리를 선언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고 단언했다.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당장 내년이라고 하기는 이르다”면서 “물가가 충분히 안정화 되었다고 확신하기 전까지 물가가 안정돼서 통화정책 영향이 충분히 발휘가 됐다고 생각될 때까지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