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리볼빙 잔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카드사의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재무건전성 리스크는 부담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신용카드사 9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NH농협카드)의 리볼빙 누적 잔액은 7조6126억이었다. 지난 2021년 공시를 시작한 이후 최대치로 지난 5월 처음으로 7조원을 돌파한 후 꾸준히 증가했다.

리볼빙은 카드 대금의 최소 10%만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다음 달로 이월해 갚는 서비스다.

일부 카드사는 리볼빙을 대출 상품이 아닌 결제 서비스로 분류하고 있다. 신용점수 하락에 즉시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고금리 상품인 카드론(장기카드대출)보다 금리가 높다.

고객이 일시적으로 자금 흐름이 막혔을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카드사는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주이용대상이 ‘취약차주’이다 보니 장기적으로는 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지적된다.

최근 여전채 금리 인상에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에서 리볼빙 잔액 증가는 카드사에 부담이다.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연체율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이다.

3분기 실적이 공개된 4개 금융지주(신한·KB국민·우리·하나) 카드사의 평균 연체율은 1.4%로 전년동기 대비 0.57%p 증가했다.

10월 기준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의 리볼빙 연평균 이율은 16.55%다. 신용점수 700점 미만의 경우 평균 18.47%다.

높은 연이율로 카드사는 수익성 증대를 위해 가입을 장려해 왔다. 온라인 카드 발급 시 리볼빙 서비스 가입 조건으로 연회비 환급이나 혜택을 줬다.

반면 카드론은 증가세가 주춤하다. DSR 적용 등으로 기준이 강화된 까닭이다.

지난 8월까지는 신용점수 500점 미만 이용자도 가입이 가능했지만, 9월부터 500점 미만의 이용자는 카드론을 내주지 않고 있다.

카드론 기준 강화는 자금 조달 어려움과 부실차주를 우려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위해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외적 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서 “이자수익에는 긍정적이지만 (자사의 경우)리볼빙 서비스 가입에 별도 제한이 없어 잔액 증가에 제한을 두지 못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리볼빙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