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고선호 기자]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건설시장의 업황 악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고금리 악재 등으로 자금난을 겪는 중소·중견건설사가 급증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 주도의 지원책 투입에도 부동산PF 연체율의 증가세를 막지 못하면서 자금줄이 막힌 제2금융권을 시작으로 한 중소·중견건설사의 줄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총 133조1000억원으로, 1분기 대비 1조5000억원이 확대됐다. 또한 같은 기간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평균 2.17%로 집계돼 지난해 말 대비 6.9%p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부동산PF 리스크 대응을 위해 대출 지원 확대를 골자로 한 지원 대책 투입에 나섰으나, 주택 인허가와 분양 감소세 등 업황 개선을 위한 문제들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으면서 건설업계의 유동성 악화 추세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를 살펴보면 올 1월부터 9월까지 국내 건설업계 착공 물량은 12만5862가구로, 지난해 동기 대비 57.2%나 급감했다.

같은 기간 전국 완료 준공 주택수도 12.5% 감소하는 등 시장 여건은 여전히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중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보다 1.3% 증가했다.

문제는 자금줄이 막힌 건설사들이 폐업을 선택하는 케이스가 급격하게 늘면서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지난달까지 집계된 종합건설사 폐업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총 45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59건보다 약 74.9% 가량 증가했으며, 지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갱신했다.

여기에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PF 연체율까지 해결되지 않아 유동성 악화를 이기지 못하고 폐업을 선택하는 중소·중견건설사들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재무구조나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중견건설사들의 특성상 급격하게 쪼그라든 수익성 문제를 비롯해 미분양 문제 등의 리스크가 사업 지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중견건설사의 경우 상위 건설사에 비해 지방 주택사업장, 오피스텔 등 고위험분류의 사업장 비중이 크기 때문에 PF보증 부담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노출돼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금융업계와의 동조를 통해 위험 사업장에 대한 즉각적 지원을 비롯, 지원 확대에 나설 계획으로, 이를 통해 부실 위기 사업장들을 정상화하겠다는 구상이다.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시장의 큰 문제 중 하나가 건설사들의 자금 경색”이라며 “정부 차원 PF대출 보증 확대를 비롯해 단계별 사업성 제고를 위한 금융 공급 대책 투입으로 어느 정도 해소될 가능성도 있지만, 보다 보완된 후속대책들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줄도산 리스크를 맊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