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가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가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 “디지털헬스케어의 인공지능은 최적의 의료, 최선의 치료를 제시해줄 수 있다.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 질환, 치매 환자들의 발생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바 이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도 디지털헬스케어의 역할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한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디지털 의료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규제·갈등 문제 해소와 서비스 활성화 방안 논의’에서 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는 과거 생명공학(BT)와 정보통신기술(IT)의 융합 정도의 개념에 머물렀으나 근래에 들어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메타버스, 원격의료, 정밀의료 등의 개념이 의료산업에도 깊숙이 들어와 있으며 이 전체를 디지털헬스케어로 총칭하고 있다”며 “이 분야가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될 것이라 예측하는 학자들이 많은바 이런 디지털헬스케어가 향후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고 말했다.

특히 인공지능(AI)이 핵심 역할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그는 “디지털헬스케어의 AI는 최적의 의료, 최선의 치료를 제시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심한 외상을 당해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돼야 할 때 인공지능이 구급요원에게 응급 처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빠르게 이송할 병원을 찾는 일, 이송하는 동안 간단한 처치를 하거나 환자를 안정시키는 일, 환자의 상태를 미리 알아 병원에서 대기하고 있는 의료진에게 알려주는 일 등 AI와 원격의료를 이용한 디지털헬스케어가 국민 생명보호에 안전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사회의 일차의료를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한 교수는 “외딴 곳, 의료기관이 없는 곳에서도 원격의료를 시행한다면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며 “환자의 생체 정보, 혈당, 각종 혈액수치 등을 측정해 상급의료기관과 협진할 수 있는 기기들이 개발돼 있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 질환, 치매 환자들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가 개발돼 더욱 건강한 노년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일차의료에 있어서 디지털헬스케어의 역할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넥스트 팬데믹의 대비책 역할도 가능할 것이라는 게 한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디지털헬스케어는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시기에 코로나 백신 수급을 체계적으로 하고 백신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최적화,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코로나 종식 방법 등을 제안해 왔다”며 “이러한 디지털헬스케어는 앞으로 또 다시 나타날 수 있는 신종 감염병의 대비에서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 내다봤다.

나군호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소장이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AI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한 노인 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나군호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소장이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AI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한 노인 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이날 나군호 네이버헬스케어연구소 소장은 ‘AI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한 노인 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했다. 나군호 소장은 “초거대 AI ‘네이버 하이클로바’ 기반으로 만든 AI 안부 전화 서비스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정서 케어와 기억하기 대화를 통해 생활 및 건강관리가 가능하다”며 “2021년 11월 해운대구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년 서비스 후 만족도가 86%에 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국 70여 시군구에서 1인 가구 중장년 및 독거노인 고독사 방지 목적으로 서비스 중”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서비스의 특징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보건소 담당자는 대상자 명단을 SaaS 관리 시스템에 등록 △지정된 스케줄에 AI가 전화를 걸어 식사·수면·건강 등의 이상 여부 확인 △기억하기 대화를 통한 생활 및 건강 상태 모니터링 가능 △서비스 지역에 재난 알림 발송 시 케어콜을 통해 자동 알림 가능 등을 꼽았다.

특히 친밀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사투리'를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나 소장은 “지역별 사투리를 AI에 적용시켜 노인들이 케어콜을 더욱 친밀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했다”며 “이는 우리가 데이터셋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초거대 AI를 활용해 공공업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이승준 기자]

한편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디지털 의료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할 중요한 미래 먹거리산업 중 하나로, 2027년 5088억 달러 규모로 전망되는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의료산업을 반도체에 버금가는 수출 효자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고급인재 육성, 그리고 불필요한 규제는 신속히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