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사진=연합뉴스, 그래픽=김영민]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릴레이가 은행권에 이어 보험‧카드사로 확산되면서 저축은행 등의 제2금융권의 부담이 커졌다. 상반기 실적 악화에 당장은 아니겠지만 업황이 개선될 경우 지원안을 요구할 수도 있어서다.

가뜩이나 저조한 실적의 늪에 빠진 제2금융권은 “업계의 자율에 맡긴다”고 전제한 정부와 금융당국의 상생금융안 관리감독 압박도 부담스럽다.

이 원장은 최근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서민‧취약 대출자 보호를 주문하고 새마을금고 사태와 함께 부각된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의 연체율 우려 감소, 상승폭 둔화를 진단했다.

업권은 하반기 실적을 장담할 수 없고, 당국의 요구가 있더라도 적극적인 대응에 따른 리스크를 경계한다. 저축은행 등의 대출상품이 취약계층과 중‧저신용자를 위주로 하면서 추가적인 금리인하나 심사완화는 재정건정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상반기 적자가 이어지고 있는데 당국에서 상생금융을 강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취약계층에게 대출 조건을 완화하는 등 여신을 확대하면 부실 우려가 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예금금리 인상 대출금리 인하 등의 상생안은 마련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저축은행의 경우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해 대출을 내줄 수밖에 없는데 예금금리를 올리면 대출금리도 올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자체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통한 상생도 진행중이다. 시중은행, 보험‧카드사와 달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까닭이다.

저축은행중앙회가 발간한 지난 3년간의 ‘사회공헌활동보고서’에 따르면 △거주환경 개선‧일자리 창출‧복지 등 지역사회발전 △취약계층지원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회복 지원 △문화‧체육‧예술 분야 지원 △보건‧의료 서비스 지원 등 448회의 사회공헌활동을 펼쳤다.

9월을 ‘저축은행 사회공헌의 날’로 지정‧운영해 상생 실천도 계획하고 있다.

업계 공동으로 운영하는 금융재기지원 종합센터도 상생금융의 일환으로 꼽고 있다. 금융재기지원 종합센터는 취약‧연체 대출자에 대한 채무조정과 종합 금융정보를 제공한다.

현재 79개 주축은행에 상담반이 설치돼 자체 채무조정과 취약 대출자에 지원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시중은행 등과는 규모 자체에서 차이가 있고 이미 지역사회에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통한 상생을 실천하고 있다”며 “업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무리하게 상생금융 지원안을 내놓기보다는 지금까지 진행해 온, 상생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실적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4월 대구 수성구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금융 확대 간담회에서 소상공인·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햇살론뱅크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질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4월 대구 수성구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금융 확대 간담회에서 소상공인·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햇살론뱅크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질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지난해 하반기 고금리 기조와 금융권의 예금금리 인상 경쟁에 저축은행 등은 수익성 악화에 직면해 있다.

최근 가계대출상품 취급은 줄이고 정책상품 공급 확대도 저축은행이 떠안아야 하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다. 햇살론의 경우 정부에서 대출액의 90%를 책임진다지만 나머지 10%의 부실을 떠안아야 한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신용대출을 공급한 저축은행은 전국 79곳 중 28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34곳이었던 반면 올해는 6곳이 줄었다. 특히 신용평점 600점 이하인 저신용자에게 내준 대출은 16곳이 전부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1분기 523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다. 2분기 역시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저축은행 다른 관계자는 “자체 대출상품 취급을 늘릴수록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시중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에 저축은행도 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지만 대출금리는 법정최고 이율이 연 20%로 제한돼 있어 적자를 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햇살론은 정부의 보증으로 리스크가 적다지만 저소득‧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다보니 미회수 가능성이 크고 조달금리 상승에 마진율도 크지 않다”며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한 저축은행의 실적개선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월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3월 KB국민, 신한, 우리 등 4대 은행을 방문한데 이어 BNK부산은행과 DGB대구은행, 광주은행에 상생금융을 요구했다. 6월에는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신한, 현대카드 등에 상생을 강조했다. 최근에는 한화생명 등을 찾았다.

관련 업계는 이 원장의 압박에 손해를 감수하고 상생금융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최근 한화생명이 내놓은 디딤돌 저축보험의 경우, 월 75만원을 저축하면 5년에 50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을 내놨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령을 제한하기는 했지만 총급여와 종합소득금액 기준은 청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보다는 보여주기식 성격이 강하다”며 “금리 변동성이 강한 환경에서 5년간 연 5% 확정금리 제공은 과거 고금리의 예정이율을 적용한 연금보험, 백수보험과 마찬가지로 고객과의 분쟁을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의 상생 행보는 민간 기업에 대한 관리감독 기관의 갑질”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