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지난달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라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지난달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상태”라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번 주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경제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 통화정책을 둘러싼 경계감에 나흘째 오르면서 수출 방어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지난주 1260원 초반이던 환율은 1280원대까지 오르며 상승세로 전환되고 있다.

25~26일(현지시간) FOMC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이 기정사실로 예정되면서 한미간 금리 격차 확대에 시장의 경계심이 커진 까닭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1월 이후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격차는 사상 처음으로 2.0%포인트 격차로 벌어진다.

한미간 금리 격차에 외국 투자 자본 이탈도 피할 수 없고, 애초 공언했던 물가잡기도 쉽지 않다.

통상 금리가 높은 국가의 통화가 강세를 보이면 금리가 낮은 국가의 자본이 유출되면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금리격차로 외국인 투자 자본유출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환율상승에 따른 수입 원자재 비용 증가로 우리 기업의 원가부담, 가격 경쟁력 하락에 수출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국내 소비재도 원가 상승 부담에 오를 수밖에 없다”며 “최근 둔화된 물가상승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2.00%포인트 격차에도 환율 변동성을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

2월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과 5월 미국이 0.25%포인트 인상에 역대급 금리차(1.75%포인트)가 벌어졌어도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 중후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 까닭이다.

당국의 개입으로 환율이 안정세를 보였지만, 지속적 방어에 한계도 지적된다. 한미 금리 역전으로 외환 유출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으면서다. 수출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한은에 따르면 6월말 외환보유액은 4214억5000만달러로 전달에 비해 4억7000만달러 늘었으나 2월 4299억7000만달러보다 85억2000만달러 줄었다.

2월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후, 한달만에 환율이 1320원대까지 치솟자 환율방어에 나서면서다. 이후 환율은 1200원대 중후반에 머물러 있다.

당국의 외환개입은 2021년 말부터 이어지고 있다. 11월 4692억1000만달러였던 외환보유액은 이듬해 4161억달러로 줄었다. 지난해에만 환율방어에 458억6700만달러가 투입됐다.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국제통화기금(IMF) 권고치에 못 미친다. IMF는 적정 외환보유액을 4500억~6800만달러를, 국제결제은행은 9300만달러를 권고하고 있다.

FOMC 발표 이후에도 연준의 매파적 기조의 유지가 이미 예상돼 있지만 통화정책 방향은 변수로 꼽힌다.

시장에서는 7월 인상을 끝으로 긴축 사이클 종료를 예상한 반면 연준은 2차례 인상 가능성을 재차 언급해 온 까닭이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회의도 예정된 만큼 미 연준의 방향이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ECB 통화정책회의에서는 0.25%p 추가 인상이, BOJ는 현 통화정책 기조 유지가 예상되고 있다.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 등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 등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도 무시할 수 없다. 연준이 긴축으로 방향을 틀면 한동안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을 고민해야 하면서다.

1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위원들이 3.75% 인상 여지를 밝힌 바 있고 미국의 추가 인상 가능성도 염두에 두면서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제주포럼 강연에서 금리 격차로 인한 외환시장에 우려를 표했다.

그동안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은 한미간 금리차에서 오는 부담보다 경기침체 우려가 더 컸다.

18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는 기준금리 인상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금리 인상에 이자부담이 가중될 경우 우리 경제에 뇌관이 될 수 있어서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2.7%로 1월(5.2%)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물가상승률은 2%대로 내리면서 한은의 목표치(2%)에 근접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한은의 결정은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국내 경기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할 여력이 없는 까닭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동조해도 수출 회복을 장담할 수 없고 내수 경기 침체로 인한 우려가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차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수출 경쟁력 약화는 감내해야 한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경기 악화, 부실채권 증가 등 내수 경기침체가 더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이미 시장에 반영돼 있고 글로벌 통화 긴축 효과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만큼,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