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이 카드사 마크가 붙은 매장의 출입문을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시민이 카드사 마크가 붙은 매장의 출입문을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권규홍 기자] 카드업계가 올해 상반기 고금리, 충당금·수수료 이슈, 조달 비용 상승 등의 갖가지 악재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든 가운데, 하반기 ‘리스크 관리·내실경영’으로 승부수를 띄었다.

하반기 역시 악재가 쉽사리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카드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202억원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3% 급감한 수치다.

신한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1667억원, 삼성카드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5% 줄어든 1455억원을 기록했다.

KB국민카드 역시 31% 감소한 820억원, 우리카드는 46.3% 줄어든 460억원으로 집계됐다.

카드사들의 영업이익 감소 폭은 더 크다.

하나카드의 1분기 영업이익은 24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6.2% 급감했고, 우리카드의 1분기 영업이익은 50.3%가 감소한 570억원, 국민카드는 32.5%가 줄어든 1118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카드 역시 11.4%가 줄어들어 1918억원, 비씨카드도 66%가 하락한 115억원, 롯데카드 도 38.6%가 줄어 680억원을 기록했다.

카드사들이 이처럼 부진한 성적표를 기록한 배경은 고금리, 충당금·수수료 이슈, 조달 비용 상승 등을 꼽을 수 있다.

고금리가 장기화 된 국면에서 자연스레 조달 비용이 늘어났고, 연체율도 일제히 상승했다.또 대손비용의 급격한 증가 역시 카드사를 힘들게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신한카드의 1분기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보다 0.33%p(포인트)오른 1.37%을 기록하며 1897억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다른 카드사들 역시 연체율이 1%대를 넘기며 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카드론과 리볼빙 연체 역시 카드사에 악재로 작용했다.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카드)의 올해 1분기 카드론 연체액은 7600억원으로 평균 2.13%의 연체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리볼링 서비스의 연체 총액도 1500억으로, 연체율은 평균 2.38%에 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카드사들은 하반기 반등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준비 중이다.

KB국민카드는 지난 7일 회사의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하반기 경영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KB국민카드는 ‘비금융 서비스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파트너십의 구축과 혁신을 키워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본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활동고객 증대 방안 △기업·공공사업 추진 계획 △금융경쟁력 강화 방안 △KB Pay 플랫폼 활성화 방안 △글로벌사업 추진전략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또 카드사들은 애플페이 도입으로 성과를 냈던 현대카드를 따라 애플페이 도입에도 나섰다.

상반기에 유일하게 애플페이를 도입했던 현대카드는 1분기 순이익이 7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9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상승했다.

연체율도 0.95%로 1%대를 기록한 다른 카드사에 비해 양호했고. 대손비용도 629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795억원 대비 21% 줄었다.

이는 애플페이 출시로 신용판매 취급액이 전년 동기 대비 4조7000억원가량 증대하고, 회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91만명 증가한 배경으로 풀이된다.

현대카드의 실적에 고무됐는지 카드 3사(신한카드, KB국민카드, 우리카드)는 최근 애플페이 서비스를 위해 애플에 사업 참여 의향서를 최근 제출했다.

서비스 개시는 오는 9월~10월이 유력한데,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는 각각 점유율 1, 2위 카드사로 더 많은 고객들의 애플페이 가입으로 간편결제 시장의 규모가 확장될 전망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11일 통화에서 “전반기 실적이 부진한 원인으로는 조달 비용하고 수수료 이슈가 가장 크다 볼 수 있다”며 “외부 환경이 개선 될 지 여부가 불확실해 전반적으로 내실 경영 기조로 갈 전망이 크다”고 말했다.

애플페이 도입과 관련한 매출 증대 전망을 두고는 “애플페이 도입으로 카드사의 회원 수가 늘어 시장점유율(MS)증대 효과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전체 시장 파이는 그대로인 채에서 늘어나는 거라 별 효과는 없으리라 본다”고 답했다.

그는 “외부 환경들이 개선된다면 결제수단이 다양화 되는 등 플러스 요인이 발생할 수도 있겠다”면서도 “가장 근본적으로는 상반기에 문제가 되었던 경영 환경들이 개선되어야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상반기 카드업계는 가맹점수수료 인하, 기준금리에 따른 조달금리 상승등 등으로 어려운 시기였다”며 “하반기는 경기침체, 연체율 상승 등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내실성장 노력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