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된 30일 오후 서울 강남에서 대부분 시민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이동하고 있다.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된 30일 오후 서울 강남에서 대부분 시민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임성지 기자]

[이뉴스투데이 임성지 기자] 정부가 ‘일상으로 회복을 실현하겠다’며 실내마스크 해제 본격화에 나섰다. 시민 대부분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그동안 국가방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마스크 제조사는 실적 악화로 폐업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학교, 백화점, 식당, 헬스장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마스크 착용은 원칙적으로 자율에 맡겨졌다. 지난 2020년 10월 코로나19 방역조치로 도입된 마스크 착용 의무가 27개월 만에 사라졌다.

다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밀접·밀집·밀폐 등 3밀 환경, 고위험군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을 강조했다. 또 대중교통, 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는 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했다.

대다수의 시민은 마스크 착용 해제를 반기는 분위기다.

강남에서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해체 첫날이라 아직 마스크를 착용하고 방문하는 손님이 대다수”라며 “매장 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손님들의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매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실내마스크 헤제 및 착용 적용의 기준점이 모호하다는 의견도 있다.

유치원 원감으로 재직 중인 B씨는 “일상으로 회복에 한 발 더 다가갔다는 점은 좋으나 기준이 모호한 점도 있다”며 “유치원의 경우 실내는 해제고 유치원 통학 버스는 착용이라는 점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어떤 기준으로 해제와 착용이 적용됐는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실내마스크 해제 조치로 인해 근심이 깊어지는 산업도 있다. 마스크 제조업계는 이번 조치가 매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제조사 줄도산도 우려된다.

한국마스크산업협회에 따르면 현재 협회에 등록된 회원사는 1600여개다. 그러나 취재 결과 마스크를 제조, 유통, 판매하는 업체는 400여개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이전 마스크 제조사는 130개사 정도였다.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로 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했지만, 평균 1일 생산량 200만~300만개로 공급에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2020년 2월을 기점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자 당시 정부는 1일 생산규모를 1000만개 수준까지 증산하도록 조치했다. 또 생산량 증대를 위해 정부는 △고성능 마스크 포장기계 공급 △조달청 매입가격 인상 △보건 및 방역마스크 다량 비축 등을 시행하는 등 마스크 확보에 주력했다.

정부의 생산 독려와 마스크 시장의 넘치는 수요, 그리고 중국 수출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는 소문이 돌면서 마스크 생산 업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증가하자 마스크 가격이 급감하기 시작했다. 2020년 한때 1개에 5000원 이상 팔리던 마스크가 현재는 500원가량에 판매되고 있다.

마스크 가격 하락과 코로나19 엔더믹 등으로 매출이 급감하던 마스크 제조사는 이번 실내마스크 해제가 뼈아프기만 하다.

한국마스크산업협회 관계자는 이뉴스투데이와 전화인터뷰로 “이번 실내마스크 해지로 크게 2가지 부분을 말하고 싶다. 하나는 정부가 마스크산업이 국가전략산업으로 역할을 부정하는 것과 코로나19팬데믹은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현재 굉장히 힘들어 하는 기업이 많기 때문에 공급망 확충, 해외 수출 인증 절차 간소화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아무런 보완책 없이 정책을 시행해 산업 자체가 무너지면 팬데믹 상황이 발생할 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의문”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