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기업이 입주해 있는 서울 여의도 일대 전경. [사진=연합뉴스]
다수 기업이 입주해 있는 서울 여의도 일대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박현 기자] 올해 중견기업 1분기(1~3월) 경기 전망이 직전분기 대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1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올해 1분기 경기 전반 전망지수가 직전분기(94.9) 대비 1.5포인트 하락한 93.4로 나타나 1분기 경기 전망이 부정적임을 4일 밝혔다.

경기전망조사 지수는 지난해 11월 29일~12월 12일 중견기업 620개사를 대상으로 분기별 경기·경영실적 등을 직전분기와 비교해 해당 분기를 평가하고 다음 분기의 전망을 조사한 결과로, 지수가 100 이상이면 직전 분기보다 다음 분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100 미만이면 부정적으로 전망한다는 의미다.

중견기업은 올해 1분기 경기 전반, 수출, 내수, 생산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경기 전반 전망지수는 93.4로 직전분기(94.9) 대비 소폭 하락(1.5p)했다.

제조업은 90.5(2.5p↓)로 자동차를 제외한 全업종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자동차(100.7, 0.7p↑)는 친환경차·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신차 판매 호조 등의 영향으로 긍정적으로 전망됐고, 전자부품(99.2, 7.5p↑)은 자동차 전장 부품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직전분기(91.7) 대비 상승했지만, 100 미만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화학(79.6, 5.0p↓)은 중국 석유화학공장 증설에 따른 공급과잉 등으로 직전분기(84.6) 대비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96.5로 직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도소매(99.6, 3.8p↑)는 의약품 도매기업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 부동산(88.6, 3.9p↓)은 금리인상, 거래절벽 등의 영향으로 직전분기(92.5) 대비 하락했다.

수출은 96.7로 직전분기(96.2)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동차(103.2, 3.5p↓)는 직전분기(106.7)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미래차 수요 증가, 물류난 개선 등으로 100을 초과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화학(85.5, 12.1p↓)은 코로나19로 중국 제조공장이 폐쇄되는 등 수출 감소 영향으로 직전분기(97.6) 대비 대폭 하락했다.

내수는 94.9(1.7p↓)로 자동차를 제외한 全업종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제조업 중 자동차(105.4, 0.3p↑)는 반도체 수급난 해소 등으로 직전분기(105.1)와 유사한 수준으로 긍정 전망됐다. 반면 비제조업 중 1차 금속(88.0, 2.7p↓)은 건설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직전분기(90.7) 대비 하락해 부정 전망됐다.

이와 함께 올해 영업이익(93.0, 1.1p↓), 자금 사정(93.6, 1.5p↓)도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화학(82.4, 6.1p↓), 비제조업은 운수업(83.8, 16.2p↓)과 부동산(89.2, 7.1p↓) 등을 중심으로 직전분기(94.1) 대비 영업지수가 하락(1.1p↓)했다. 자금 사정은 화학(85.0, 9.2p↓), 운수업(89.6, 8.9p↓)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직전분기(95.1) 대비 하락(1.5p↓)했다.

중견기업의 생산 전망지수는 97.3으로 2021년 3분기 이후 6분기 만에 100 미만으로 하락(3.1p↓)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자동차(104.9, 6.6p↓), 전자부품(106.6, 10.8p↑), 식음료품(100.1, 4.6p↓)은 긍정적인 반면, 그 외 업종은 모두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설비가동률 지수는 80.8로 직전분기(78.9) 대비 소폭 증가(1.9p↑)했고, 설비투자규모는 98.9로 직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동차(100.3), 화학(102.9)은 긍정적으로 전망됐지만, 전자부품(99.0, 2.4p↓)은 3분기 만에 100 미만으로 하락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경영애로 요인으로 제조업은 원자재가 가격 상승(53.2%), 비제조업은 내수 부진(43.8%)을 1순위로 꼽았다.

김홍주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2023년은 계속된 글로벌 공급망 불안,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면서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출 지원, 규제개선, 세제·금융지원 확대 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산업부는 국가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주체인 중견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신성장동력 분야 R&D, 중견기업 전용 펀드 조성, 중견기업법 상시화 등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