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고선호 기자]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원자력 발전 중심의 에너지 체계 개편이 속도를 내면서 본격적인 ‘대(大) 원전시대’가 개막했다.

특히 지난 한 해 동안 전력거래량 부문에서 원전의 비중이 30%대까지 확대되는 등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기저발전원 중심의 전력믹스 체계로의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발전원별 비중을 원전 32.4%, LNG 22.9%, 신재생에너지 21.6%, 석탄 19.7%로 전력원별 비중을 조정, 탄소중립에 대비해 나갈 계획이다.

이는 지난 문재인 정부 당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통해 설정된 신재생에너지 30.2%, 원전 23.9%를 대폭 조정한 것으로, 윤석열 정부는 이 중 원전 비중을 8.5%p 높이는 한편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8.6%p 줄이는 등 원전 중심의 에너지 믹스 구성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공고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이번 전력수급기본계획의 핵심은 원전 중심으로의 에너지 체계 재편이다.

태양광 발전 중심의 기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무분별한 확장을 제어하는 한편, 원전을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이행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통해 원전의 발전 비중은 2030년 32.4%, 2036년 34.6%에 달할 전망이다.

LNG 발전은 41.3GW에서 64.6GW, 석탄 발전은 38.1GW에서 27.1GW로 조정되며, 특히 석탄발전에 대해서는 발전소 58기 중 노후 기종인 28기는 차례로 문을 닫고 LNG 발전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신재생 설비는 같은 기간 29.2GW에서 108.3GW로 확대된다. 이중 기존 87대 13의 비중을 보이고 있는 태양광과 풍력의 비율을 60대 40으로 조정한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기존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믹스는 전력 수요가 최대로 치솟는 피크 시기 기여도가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기저발전원 중심의 믹스를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무분별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확장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부담과 발전공기업의 적자 해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현 정부의 원전 중심 에너지 정책 추진이 본격화되면서 지난해 원전 발전 전력의 거래량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전력 및 전력거래소의 전력통계정보시스템를 살펴보면 지난 11월까지 집계된 원전 전력거래량은 15만2958GWh로, 전체 전력거래량 49만8757GWh 중 30.7%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고점을 기록했던 2015년(31.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원전 발전 전력의 거래비중은 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을 기점으로 20%대까지 주저 앉았다. 이후 2021년까지 20%대에 머무르다, 지난해 윤 정부 출범을 기점으로 대대적인 반등에 성공했다.

원전 발전량과 설비용량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1∼10월 기준 원전 발전량은 14만6820GWh로, 전년 동기 대비 14.8% 가량 증가했으며, 발전설비 용량의 경우 신한울 1호기 가동 돌입에 따라 지난달 기준 2만3250MW에서 2만4650MW로 대폭 확대됐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원전 이용률이 80%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원전 이용률을 90% 수준까지 끌어올리면 원전 2~3기를 새로 짓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