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 시중은행 지점 수는 2757개로 작년 말보다 173개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중앙우체국 금융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 시중은행 지점 수는 2757개로 작년 말보다 173개 감소했다. 사진은 서울중앙우체국 금융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구현주 기자] 은행업계가 ‘디지털전환’과 점포 축소로 금융 취약계층을 외면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모바일 앱 등 비대면 서비스는 강화됐지만, 비대면 서비스에 친숙하지 않은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이 제한되고 있어서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 시중은행 지점 수는 2757개로 작년 말보다 173개 감소했다.

은행의 몸집 줄이기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 확대와 맞물려 가속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 점포수는 지난 2020년 304개, 2021년 311개 줄었다.

금융당국은 점포폐쇄 전 사전영향평가 실시 등 공동절차를 지난해 3월 개정했지만, 은행의 몸집 줄이기 추세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엔 역부족이다.

대면 고객소통채널을 줄인 시중은행은 모바일 앱 등 디지털화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품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형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60대 이상 고령층의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경험 비율은 절반을 밑돈다.

60대의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경험 비율은 39.6%, 70대 이상은 15.4%에 그쳐 50대(66.7%)와도 격차가 크다.

코로나19 이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이 늘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연령대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팬데믹 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빈도가 증가한 60대의 비중은 28.2%, 70대는 26%다.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은 이러한 비판을 의식해 은행 간 공동점포 운영과 혹은 우체국과의 협약을 추진했다.

지난달 30일부터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은행 고객은 전국 2500여개 우체국에서 별도 수수료 없이 입·출금, 조회, 자동화기기(AT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우체국을 운영하는 우정사업본부는 기업, 산업, 씨티, 전북은행 등과 업무제휴를 맺고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왔는데, 해당 서비스가 4대 은행으로 확대됐다.

2개 이상 은행이 공동 운영하는 공동점포도 늘고 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올해 4월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공동점포에 이어, 이달 경기 하남시 미사지구 망월동에 공동자동화점을 개점했다.

이러한 금융당국과 시중은행의 노력에도 점포 폐쇄에 따른 비판은 여전하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는 지난 6월 발표한 성명서에서 “금융위원회는 우체국 업무위탁 등 오프라인 금융접근성 제고방안을 발표해 디지털 취약계층 소외를 방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정부 방안을 실천하는 척하며 은행들이 점포폐쇄 속도를 더욱 올리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공동점포도 운영시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추후 고객 정보유출 등 사고발생 시 적절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점포폐쇄와 맞물려 정규 직원이 줄고 오히려 계약직만 늘어나는 등 고용질 악화도 문제다.

올해 9월 시중은행 임직원수를 올해 9월과 작년 말과 비교하면 정규직원은 3294명 감소했지만 오히려 비정규직은 1319명 늘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난 2020년 이후 시중은행의 정규직은 줄고 계약직은 늘었는데 이는 계약직은 재계약만 안 하면 자동으로 해고가 가능하기 때문”이라며 “은행이 디지털전환을 명분으로 단기적 수익성만을 지표로 영업점을 폐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