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박현 기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5년여 만에 재가동을 선포하고 내년 1월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지만, 선박 건조에 이르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지속적인 물량 확보, 협력업체 확충 여부와 조선소 입지 특성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서다.

그동안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정치권, 지자체, 지역언론, 업계 일각 등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지난해부터 업황 상승으로 수주 물량이 증가하고 있는 데다 최근에는 수주잔량도 3년치 이상 확보됐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 2월 현대중공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으며, 다각적인 준비작업 끝에 이번에 비로소 첫 발을 뗀 셈이다.

◇단기간 원상복구는 사실상 희박

군산조선소는 지난달 28일 재가동 선포식을 열었다. 조선업 불황 등으로 지난 2017년 7월 가동을 전면 중단한지 5년여 만이다.

앞으로 군산조선소는 선박 건조에 필요한 블록 생산을 위해 조립, 도장, 판넬 등 각급 공장 가동을 순차적으로 재개, 내년 1월 재가동 준비를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이후 내년 한 해에는 블록 약 10만톤을 생산해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로 옮겨 대형 컨테이너선 건조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벌써부터 군산조선소의 희망찬 미래를 바라보는 예측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의 수주 호황 기조와 맞물려 단기간에 활성화될 것처럼 내다보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조선소 재가동으로 생산유발효과가 1989억원, 인구유입효과 3600명 등 지역경제 상승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북연구원의 전망도 이에 한몫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군산조선소가 선박 건조 등 정상화에 도달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우선 협력사 확충 여부다. 선박 건조 시 이들 업체가 필수적인 공정을 맡아야 하지만, 가동 중단 후 80% 이상이 폐업하고, 6000여명이 일자리를 잃은 상태다. 조선소를 단시일 내 재가동하더라도 원상복구는 사실상 희박하다.

이에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재가동에 협력업체 10개사가 참여할 예정이며, 직전까지 최대 1000명의 현장 인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간 10척 이상 건조 시기와 현격한 격차

군산조선소는 수심이 얕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에 위치해 동해안이나 남해안 소재 조선소보다 선박 건조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물론 가동 중단 전 현대중공업의 자체적인 운영 경험와 기술적 노하우를 기반으로 이러한 문제를 일정부분 상쇄해 왔지만, 재가동 후 건조 공정을 본격화할 경우 핸디캡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더욱이 700m에 달하는 초대형 도크 1개를 보유해 벌크선이나 탱커 건조는 무난하지만,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주가를 올리고 있는 LNG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 건조에는 작업과정상 어려움이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와 더불어 조선소 가동이 다시 중단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물량 확보가 급선무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지금은 조선산업이 호황기이지만, 업황이 하락세에 들어설 경우를 대비해 현재의 수주잔량에 머무르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전라북도와 군산시 등이 재가동 후 3년간 고용지원금 132억원, 인력양성지원금 67억원, 연간 물류운송비 100억원 등을 군산조선소에 지원할 예정이다. 그만큼 지자체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군산조선소 재가동으로 지역경제에 일부 도움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간 10척 이상 건조하며 연간 매출 1조원을 기록했던 과거와는 천양지차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리부터 장밋빛 미래를 넘겨짚기보다는 냉철한 판단 아래 향후 운영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이유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재가동 후 내년까지는 군산조선소에서 블록 생산 위주의 공정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면서 “2024년 충분한 일감 확보가 이어지고 공정에 참여할 협력업체가 더욱 늘어날 경우, 선박 건조를 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