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박현 기자] 조선업계가 글로벌 시장의 수주 계약 형태인 ‘헤비테일’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각적인 행보를 나타내고 있다.

헤비테일은 선박 수주 시 계약금을 포함한 선수금을 해운선사 등 발주처로부터 3~4차례 일부만 나눠 받고, 잔여 건조 대금의 60% 이상을 최종 인도 단계에서 지급받는 방식이다. 글로벌 조선업계에서는 지금까지 십수년간 이 같은 관행이 정착돼 왔다.

이러한 헤비테일 방식이 조선업계에 굳어진 것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업황이 하락세로 들어서면서부터다. 조선사마다 줄어드는 선박 수주량을 만회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수용한 불리한 계약 조건 중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선수금 규모가 워낙 작다 보니 선박 건조 과정 중 철광석 등 원자재가격이나 임금 등 인건비가 오르면, 조선사가 자금 압박을 무릅쓰고 이를 모두 부담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더군다나 조선사가 자금 부족으로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차입금을 들여올 경우, 추후 이자비용까지 증가하는 악순환 속에 재무구조 악화 요인이 됐던 것이다.

이제 수주 호황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조선업계가 이 같은 고질적인 계약 관행에서 탈피하려는 움직임은 어찌 보면 당연지사다. 조선사마다 수주잔량이 2~3년치에 달할 정도로 일감이 충분해 발주처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조건에 얽매일 하등의 이유가 없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내 조선업계가 친환경 LNG운반선 시장을 석권하며 글로벌 조선 1위에까지 올라선 입장이다.

이는 국내 조선업계가 과거 불황기와는 달리 선박 건조 협상에서 힘을 지니게 됐음을 의미한다.

일단 업계에서 기존 헤비테일 방식 대신 계약에서부터 선박 인도 시까지 결제횟수마다 균둥한 대금을 지급받는 ‘노멀 텀’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행보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는 조선사의 자금 유동성 확보나 재무건전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제는 조산사마다 수주 계약 단계에서 발주처에 본격적으로 제 목소리를 낼 때다. 한 척의 수주가 아쉬워 발주처에 질질 끌려다니던 과거의 모습에서 탈피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조선업계가 글로벌 시장에서 한층 공정한 여건 하에 발주처와 대등한 입장에 서야 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