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죽지 않을 만큼만 힘들면 좋겠습니다. 지금은 죽을 것 같으니까요.”

길고 긴 코로나19의 지옥도 속에서도 겨우겨우 살아남은 소상공인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된 이후 그들은 반긴 건 끝을 모르고 치솟는 원자재 물가와 시장 전체를 얼어붙게 한 금리 인상 위기다.

또 새 정부 들어 고공행진 중인 공공요금의 인상도 그들의 목을 조여 온다. 해마다 거듭된 고용절벽 문제는 이제는 문제로 꼽기 어려운 수준이다. 그나마 나아지던 코로나19도 다시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니 하루하루가 좌불안석이나 다름없다.

이 같은 소상공인들의 불행은 불과 1~2년 사이 그들의 삶을 송두리째 집어 삼키고 있다.

“하늘도 무심하시지…”

그야말로 한탄이 나오는 절망 속에서 그들이 기댈 건 천운(天運)밖에 남지 않았지만, 하늘도 그들을 외면한 것 같은 상황이다.

떨어질듯 하다가도 다시금 고공행진 하는 부동산 가격은 이제 상가로까지 번지고 있다. 장사는 가뜩이나 안 되는데 월세든 연세든 나가는 돈은 점점 불어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생존을 위해 융자를 받았지만, 이마저도 만기일이 목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사면초가(四面楚歌)’가 아닌 위와 아래도 무너져 내린 그야말로 절체절명의 위기다.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하듯 소상공인들이 전망한 다음 달 경기 지수(BSI)는 70.0대까지 주저 앉았다.

지수가 100아래로 떨어질수록 경기가 악화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이 더 많다는 건데,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수준까지 다다르고 있다.

이에 정부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위해 약 41조2000억원에 달하는 정책자금 투입에 나섰다.

겉 만 봐서는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는 것 같지만, 실제 투입되는 세부항목의 면면을 살펴보면 실상은 그렇지 않다. 전체 예산 중 직접적인 지원 항목인 유동성 공급과 재창업·재기지원에 투입되는 예산은 전체 비중의 30.3%에 그친다.

반면, 창업·사업확장, 설비투자 등 경쟁력 강화 자금에는 무려 29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전체 예산의 70%에 달하는 규모다. 하루하루 버텨나가는 소상공인들의 현재 상황을 감안한다면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 실질적인 재기와 생존 보다는 시장 전반의 확장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이 커지면 나쁠 것이 없지만, 말 그대로 ‘적자생존(適者生存)’의 법칙에 따라 약한 자들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목을 조여 오는 수 억원대의 융자와 계속되는 임대료의 압박 속에서 우리의 소상공인들은 적자(適者)가 되기 쉽지 않다.

정부 정책의 이정표가 과연 어디로 향해있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금이라도 진정 손을 내밀어야 할 곳이 어디인지 다시금 되짚어야 할 때다.

소상공인들의 안녕(安寧)한 일상을 되돌려주기 위한 살갗에 와 닿는 정책이 절실하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