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반도체 업계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다. 아직까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네온, 크립톤, 팔라듐 등의 원자재 공급망에 차질이 우려되는 이유다. [사진=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반도체 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네온, 크립톤, 팔라듐 등의 원자재 공급망에 차질이 우려된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반도체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장기화될 경우엔 반도체 생산공정에 필수적인 네온, 크립톤, 팔라듐 등의 원자재 공급망에 차질이 우려된다.

반도체업계에서는 미국의 대러 수출 제재, 주요 소재 수입 등과 관련해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다. 러시아로 수출되는 비중이 워낙 미미하고 가스 등의 공급망도 이미 다변화돼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제정세가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만큼 상황은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해 러시아를 대상으로 한 반도체 수출액은 7400만달러로 총 수출액 1287억달러의 0.06% 정도다. 반도체가 필요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전자기기의 비중도 크지 않다. 지난해 국내 대러 수출 규모는 총 99억830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1.5% 수준이다. 이중 가전제품은 1억9500만달러, 스마트폰 등 통신기기는 4300만달러 가량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네온가스나 크립톤, 팔라듐 등의 경우 이미 수개월치의 재고가 비축돼 있고 공급망이 다변화돼 있는 상태로 현재 러시아, 우크라이나 비중이 크지만 언제든지 공급망은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다양한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대비하는 차원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의견도 다르지 않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갈등이 이미 10여년 전부터 있어왔고 관련 기업에서도 대비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의 제재대상이 러시아에만 국한돼 사태가 장기화되지 않을 경우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진단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양국의 갈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고 기업도 지정학적 위험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해 두고 있을 것”이라며 “미국의 제재대상은 러시아에 국한돼 있어 원재자 수급 등의 공급망 이슈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불산 공급망 이슈와도 다르다는 설명이다. 한·일 무역분쟁으로 반도체 공정에 필수인 불산의 수입제한 일본 정부의 규제로 장기화가 우려됐기 때문이다. 당시 국내 반도체업계의 일본 의존도가 100%에 가까웠던 이유도 있다.

김 연구위원은 “불산이든 네온이든 반도체 공정에 필수인 원자재의 경우 하나라도 없으면 공정을 돌리지 못한다”라며 “불산의 경우 일본 정부가 의도적으로 한국을 타깃으로 정했기 때문에 장기화가 우려됐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불가항력인 상황으로 사태 진정 후, 수입 재개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전면전으로 확대되고 장기화될 경우 원자재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 지난 2008년 조지아,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침공 당시에도 원자재·곡물 가격이 크게 오른 바 있으며 네온가스의 경우 10배 이상 급등했었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러시아의 조지아 침공 사태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병합 등 주변국가 침략의 경우 단기간에 끝나면서 원자재 가격이 단기 반등에 그쳤으나 이번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 결과가 다를 수 있다”며 ”국내의 경우 우크라이나보다 중국에서 더 많은 양의 네온을 수입 중이고 러시아에서 팔라듐 수입 비중도 낮아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지만 가격상승에 따른 피해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25일 관계장관회의를 갖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관해 주요 현안을 점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교역규모 등을 감안할 때 단기적‧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망 이슈와 관련해서는 국제사회의 수급안정 노력에 동참하면서 수입 다변화를 추진하고 국내기업 대체생산 등 수급 안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