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인력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중소·벤처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영민 기자]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개발인력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중소·벤처개발사는 사업지연과 재정난, 이중고를 겪으며 고사 위기에 처했다. 개발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주한 프로젝트 수행에 차질을 빚고 경쟁적으로 높아진 연봉에 대응하기가 어려워지면서다.

지난해 게임·플랫폼업계의 경쟁적 연봉인상이 올해에도 이어지는 분위기다. 업계 평균 연봉이 오르면서 개발자의 눈높이도 높아졌다. 어지간한 연봉과 대우로는 인력이탈에 대응하기 어려워지면서 중소·벤처기업에서는 정부의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디지털전환의 가속으로 ICT업계뿐 아니라 금융, 유통, 제조 등 각 산업분야에서 개발자 채용이 늘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개발자 수요가 더욱 증가했다.

중소·벤처업계에서는 대기업·플랫폼 등에는 못 미치지만 타 업종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의 연봉인상도 단행했다. 복지혜택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도 마련했지만 현상 유지도 부담이다.

개발자 부족 현상이 전 산업군으로 확대되면서 대기업에서도 인력이탈을 우려해 고연봉, 스톡옵션, 복지혜택을 강화해 중소기업은 대응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올해 LG CNS는 연초 기본급의 24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고 개발직군 등 일부 신입사원에게도 1000만원의 성과급 지급을 발표했다. 지난해 실적에 따른 보상에 대한 불만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력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카카오도 연봉 예산을 15% 확대하고 선택근로제 도입, 포괄임금제 폐지 등을 내걸었다. 신세계아이앤씨는 자율 출퇴근제, 선택적 시간제 등 유연한 근무환경과 다양한 보상휴가 제도를 마련해 운영중이다.

중소·벤처기업도 주4일 근무제, 거점 오피스 도입, 원격근무 확대 등, 워라벨 확대와 복지몰 운영 등의 혜택을 강화하고 연봉 수준을 높이고 있지만 인력이탈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일부 업계에서는 부족한 개발자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외국인 및 정년 퇴직자 채용에도 나섰다.

한 중소기업에서는 개발자 부족으로 1년 내내 채용을 진행하고 매달 인수인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신입 개발자를 채용해도 쓸만해지면 이직대열에 합류하면서 공백이 생기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프로젝트를 수주해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인력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개발기간이 정해져 있어 급하게 프리랜서를 채용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개발자 부족으로 개발기간을 맞추지 못하는 일이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중소기업의 경우 개발자 인력구조가 모래시계 같이 중간 개발자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라며 “시니어급 개발자가 신입 개발자 교육과 개발업무까지 도맡아 하면서 업무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실적이 악화되면 인건비 부담에 회사의 경영유지가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인건비를 줄일 경우 인력이탈이 우려되고 유지하자니 경영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경력 개발자를 채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신입 개발자 채용에도 나서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최근 몇년동안 이공계 출신의 신입 개발자 면접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공계 출신 대부분이 게임업계, 포털사 등 대우가 좋은 기업을 먼저 찾고 규모가 작은 기업은 이력서도 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채용은 정부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개발자 과정을 수료한 이들이 대부분”이라며 “신입으로 채용하면 똑같이 업무프로세스를 교육하고 있지만 전공자와 는 이해도면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신입 개발자 채용에 애를 먹으면서 정부의 지원정책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 정부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채용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연차가 차면 이직 시장으로 떠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력 개발자를 채용할 여건이 되지 않아 신입 개발자, 교육프로그램 수료자를 채용하고 있지만 경력자가 되면 이직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중소·벤처기업은 정작 개발은 뒷전이고 인력확보에 열을 올리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부 지원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인력의 경우 중소기업 의무취업 규정을 두고 안정적인 인력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개발자 수요증가에 중소·벤처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해지면서 정부도 민·관 협력기반의 인재육성에 나서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당장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단기교육으로는 실무에 투입하기 어렵고 특성화대학을 통해 배출되는 인력의 수급에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된 개발자 대부분은 기본 교육만 받고 기업에 채용되는 경우가 많아 기업 실무에 필요한 인력으로 양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며 “경력단절 여성이나 외국인을 채용하는 경우,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에서 개발자를 채용하는 경우 대기업과 경쟁할 수 있도록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올 상반기까지 맞춤형 인재 2만1000명을 양성하는 대책을 내놨다. 중소·벤처기업의 인력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주도의 단기 훈련과정을 확대하고 재직자 훈련 지원도 강화했다.

2025년까지 고급인재 2400명을 포함해 6만8000명의 인재를 추가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기초소프트웨어 과정을 정규교과로 편성해 채용연계하는 네트워크형 캠퍼스 소프트웨어아카데미도 신설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