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 전성웅 박사. [사진=DGIST]
왼쪽부터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 전성웅 박사. [사진=DGIST]

[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DGIST는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이 김진영 DGIST-ETH 마이크로로봇 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김성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교수팀과 줄기세포 치료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 및 후각경로를 통한 최소 침습 뇌 내 치료제 전달방법’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또 혈액-뇌 장벽을 우회하는 후각경로를 통해 개발한 줄기세포 기반 마이크로로봇을 뇌에 생착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 수술 대비 효과와 안전성이 높은 이번 기술은 향후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종양 등 다양한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줄기세포 치료는 체내 깊숙한 곳의 환부나 치료가 위험한 신체부위에 정확한 양을 정확한 위치에 줄기세포를 전달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전달 도중 체내 유실되는 양이 많아 치료 효율성과 안전성이 낮고, 그에 비해 치료비용이 비싸다. 특히 혈액을 통해 뇌 속으로 줄기세포를 전달할 때 뇌혈관의 특수한 부분인 ‘혈액-뇌 장벽’ 때문에 세포전달 효율이 떨어지기도 한다.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외부 자기장을 이용, 사람 몸속에서 자유자재로 제어가 가능한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사람유래 줄기세포 기반 자성 마이크로로봇은 외부 회전 자기장에 의한 회전구름운동과 자기장 구배에 의한 병진운동을 할 수 있어 체내 다양한 생리학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외부 자기장을 이용해 마이크로로봇을 미세유체채널 내에서 무선으로 제어, 목표지점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 세계에서 처음으로 쥐의 혈액-뇌장벽을 우회한 후각경로를 통해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을 주입, 외부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뇌 조직 내 마이크로로봇을 이동시켜 대뇌 피질에 정밀하게 도달해 생착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과학학술지인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지난 10월 6일 게재됐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