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 장면. [사진=영화진흥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 장면. [사진=영화진흥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이뉴스투데이 신하연 기자] “극장의 위기가 지역상권의 위기로 번지고 있다.”

최형두 더불어민주당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28일 오후 온라인으로 진행된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특히 지방의 경우 극장은 비단 지역상권 활성화의 중추시설일 뿐만 아니라 핵심 문화기반시설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극장의 위기는 지방도시에게는 비단 경제적인 위협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큰 문제”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영화관객수(5952만명)는 전년(22668만명) 대비 73.7%, 매출액도 1조9140억원 수준에서 5104억원으로 급감했다.

특히 극장 등 문화 공간 감소는 상권소멸 및 소상공인 위기 문제와도 직결되고 있다.

조희영 중앙대학교 첨단영상 대학원 교수(포스트코로나영화정책추진단 수석연구원)가 ‘극장의 몰락이 미치는 영향과 지원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팬데믹으로 인한 영화산업 영화관 피해현황과 온라인시장 피해 통계를 소개하며 정부 차원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조희영 교수는 “상업영화 제작편수와 연평균 극장 관람횟수 모두 2000년 초반 현황으로 회귀하고 3대 멀티플렉스 직영점 기준 265개점 폐점, 전체 직원 중 정규직 20%와 비정규직 80%가 감소했다”며 “시장 자구책만으로는 정상화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 장면. [사진=영화진흥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영화발전기금 구조의 전면 재검토 필요성도 언급됐다.

조 교수는 “영진위는 영화발전기금을 활용해서 여러 가지 지원 사업 진행하고 있는데, 납부자와 수혜자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이 극장시설을 포함한 인프라 구축에 많은 지원금을 소비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발전기금 재원과 수혜자가 과감하게 연결돼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최낙용 한국예술영화관협회 대표와 조성진 CGV 전략지원담당도 각각 독립·예술영화전용관과 멀티플렉스 체인 분야에서 절실한 정부 지원책을 촉구했다.

최낙용 대표에 따르면 전국 70여곳 독립영화관 중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50여곳은 대부분 올해를 기점으로 폐관을 고려 중이다.

상대적으로 관객층이 얇은 독립예술영화관의 경우, 적자 누적이 심화되면서 상황 호전 시에도 코로나 이전의 운영상황으로는 회복이 불가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 장면. [사진=영화진흥위원회 유튜브 갈무리]

멀티플렉스 사업체도 마찬가지로 어렵다.

멀티플렉스 3사(롯데시네마, CGV, 메가박스) 대표로 참석한 조성진 CGV 전략지원담당은 “연간 이익이 500억원 수준인데 지난해에만 4000억원 적자가 발생해 10년치 벌어들인 것이 작년 한 해에 사용됐다”며 “각 사별로 무급휴가, 판관비 절감, 배급사 지원 등 자구 노력을 펼쳐왔지만 매출은 계속 감소하고 임차료‧인건비는 증가, 극장 개봉작은 줄고 OTT개봉작이 늘어나는 등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개봉지원금 등 마케팅 지원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상영관 내 음식물 섭취 수칙 완화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상영관 내 음식물 섭취 수칙 완화 △올해 영화발전기금 전면면제 또는 감면 △장기적 관점에서 영화발전기금의 구조 전면 재검토 등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최정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도 영화 제작업계·단체 분야 대표로 참석, “극장에서 제대로 홍보가 되지 않는 개봉영화는 IPTV나 OTT에서도 마찬가지로 흥행이 어려운 구조”라며 “한국 사회에서도 프랑스, 영국, 독일의 사례처럼 영화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정부 차원에서의 과감한 재원 투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우리들의 모든 순간에 영화가 있었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번 비대면 토론회는 박정 의원과 영화진흥위원회가 각각 공동개최와 주관으로 참여, 최재원 영화진흥위원회 부위원장(엔솔로지스튜디오 대표)을 좌장으로 진행됐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