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조채원 기자] 지난 주 대한항공은 KDB산업은행에 제출한 ‘인수 후 통합 전략(PMI)을 제출했던 자료가 공개됐다.

내년에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지난 주 보도된 PMI 관련 기사는 엉뚱한 방향으로 전개됐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의 인력 2000여 명을 고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인수합병을 발표하며 산은과 대한항공이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고용 안정'이 손바닥 뒤집히듯 쉽게 뒤집힌 듯 보였다.

이러한 대한항공에 아시아나 협력사의 고용 보장을 종용하는 기사로 또다시 대한항공 오너가에 관심이 쏠렸다.

가뜩이나 오너가의 도덕성 문제로 따가운 시선을 받아왔던 대한항공이 또 한 번 고용 문제로 부도덕하다는 비난을 받을 뻔 했다.

물론 대한항공 오너 일가는 변하지 않았다.

'땅콩 회항' 여파로 경영권에서 밀려난 고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이 작고하자 그 자녀들은 경영권 분쟁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대한항공이 정상적인 상황이었음 생각도 안 했을 아시아나 인수전에 뛰어들어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임에도 합병을 강행하고 있다는 게 업계 정설이다.

그럼에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대한항공에 아시아나의 협력사의 고용까지 보장하라고 종용하는 것은 지나치다.

기사에서 주장하던 아시아나 인력 2000여 명은 협력사 인력을 합한 인원으로 아시아나 인력이 아니다. 협력사는 주로 청소, 체크인, 급유 업체로 항공기 수만 유지된다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독립된 두 회사를 하나로 합치면 흡수 통합하는 형태인 만큼 운영 효율을 위해선 중복으로 인한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단순히 두 회사를 합쳐 덩치만 키워서는 비효율만 커지기 때문이다. 이왕 통합이 결정되고 돌이킬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면 기업의 생리에 반하는 사회적 책임을 과도하게 물어 합병 작업만 더디게 할 필요는 없다.

지금 단계에서 큰 타격을 입은 항공 산업에, 나아가 국가 경제에 보탬이 되는 것은 과도한 의심과 질책이 아닌 합리적 이성이다.

과오를 약점 삼아 불필요한 소모전과 불안을 가중하는 의심과 질책은 건설적이지 못하다.

기업은 수익을 일정 정도 사회에 환원할 책임이 있는 것은 맞지만 손해를 감수하면서 도의적 책임을 완수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 악마화를 경계하고 시너지 극대화를 생각할 때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