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김양호 삼척시장은 시청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삼척 원전예정구역 지정 철회와 수소산업 조성을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뉴스투데이 강원취재본부 어경인 기자] 삼척시 원전예정구역이 31일 지정 철회됐다.

정부는 이날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 삼척 대진원전 예정구역 지정 철회를 발표했으며 이는 지난 2010년 12월 삼척시가 원전유치신청을 한날로부터 10년, 2012년 9월14일 원전예정구역으로 고시된 지 7년 만에 이뤄졌다.

김양호 삼척시장은 시청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결정에 환영한다. 지난 10년간 인고의 세월을 견뎌온 8만 삼척시민의 오랜 염원이 이뤄진 기쁨과 감격의 날”이라며 “앞으로 원전예정구역을 수소기반 에너지 거점도시로 조성, 새로운 부흥의 역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건설 백지화를 반드시 이뤄 내고 대체 에너지 산업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시민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돼 더 없이 기쁘다”며 “기나긴 투쟁의 끝맺음과 동시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시작이 날이 될 것”이라면서 꿈을 이뤘다고 울컥한 심경을 표했다.

앞서 2010년 12월 주민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채 강행된 원전유치신청에 대해 삼척시민들은 시민 총권기대회, 수요집회, 탈핵 도보순례 등 원전부지 지정 철회를 요구해 왔으며 시민 주도의 원전 유치 찬·반 투표를 실시, 85%의 압도적인 주민 반대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시는 근덕면 동막리와 부남리 일원에 향후 1조8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수소에너지 연관 산업 및 연료전지발전소,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등을 유치하며 관광휴양단지, 스마트팜 단지, 수소빌리지 등을 조성해 수소의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이 집적화할 계획이다.

시의 이러한 구성은 정부와 강원도의 수소산업 육성의 의지와 맞물려 실행단계에 이르렀고 이미 70억원 규모의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과 63억원 규모의 에너지 기술개발 실증사업에 선정됐으며 하반기에는 2000억 규모의 '수소 시범도시 공모'에도 참여한다.

수소경제사회 기반구축을 위한 사업들도 속도를 내고 있다. 강원도1호 수소충전소는 올해 하반기 완공되며 수소자동차 70대 보급,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관련 추경예산으로 수소버스 2대, 수소버스 충전소도 확보했다.

기업유치 성과로는 지난 3월 한국동서발전이 원전예정구역 일원에 약 1조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 연료전지발전소와 수소생산시설, 신재생에너지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에릭슨LG, 하이리움 산업, J&K히터, 현대자동차, 한국과학기술원 등 국내 유수의 기업·연구기관도 수소산업 육성과 기업이전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세계적인 수소 기업인 넬(Nel)과 삼척시 수소산업 활성화 MOU를 체결, 아시아 거점기업 유치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원전부지와 연접한 근덕면과 덕산리 일대에 GS그룹이 약 9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 그린에너지 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 국내외 수소연관기업과 신재생에너지 기업은 물론 영동권 화력발전산업 확대에 따른 발전소 기자재 제조·공급업체 유치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김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산업분야는 단연 수소에너지다. 수소는 반영구적이고 친환경적 자원으로 생태관광도시 삼척시에 수소만큼 어울리는 에너지도 없을 것”이라며 “시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계획이 취소, 최적의 부지가 이미 확보돼 있다. 수소 생산의 원료가 될 LNG생산기지도 구축돼 있어 수소산업 육성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시장은 “심사숙고 끝에 원전예정구역 해제 결정을 내려 준 정부와 숱한 어려움 속에서도 삼척시의 미래를 위해 고민해 주고 힘을 모아준 시민들에게 다시한번 감사드린다”며 “삼척의 희망찬 미래를 위해 많은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강릉 수소탱크 폭발과 관련해서 김 시장은 “수소 산업이 국내에서 아직 시작단계다보니 여러 가지 원인을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원인은 곧 밝혀질 것”이라며 “수소의 안전성은 전 세계적으로 확인된 만큼 시민들을 잘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