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뉴스투데이 DB]](https://cdn.enewstoday.co.kr/news/photo/202511/2359055_1185854_483.jpg)
[이뉴스투데이 김진영 기자] 공공행정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가 내부 행정망에서도 민간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조성에 나섰다. 중앙·지방정부가 그동안 보안 문제로 제한됐던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게 되면서, 정책 기획부터 민원 처리까지 행정 효율성을 전면적으로 끌어올릴 ‘AI 행정 전환점’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행정안전부와 중앙·지방정부가 내부망에서도 민간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공식 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민간 AI 서비스는 데이터 유출 우려로 외부 인터넷망에서만 사용 가능해 행정 현장에서 활용이 제한됐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범정부 AI 공통기반’은 민간 AI 모델·학습데이터·GPU 인프라를 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서비스다. 중앙·지방정부는 중복 투자 없이 행정문서 분석, 정책 기획, 민원 상담 등 업무 전반에 AI 기능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를 ‘AI 행정시대’의 본격적 출발로 평가했다.
공통기반에서는 행정문서·법령정보·지침·민원 데이터 등을 AI와 연계한 내부망용 AI 챗서비스 2종(삼성SDS, 네이버클라우드)이 제공된다. 기관별 특화 AI 도입도 지원, 12월에는 국민이 필요한 혜택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정부24+ 지능검색’이 적용된다. 2026년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모델도 공통기반에 추가해 활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를 기반으로 과기정통부·행안부·식약처를 대상으로 하는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서비스도 개시했다. 메일·메신저·영상회의 등 협업 도구를 AI로 통합하고, 기관 보유 문서까지 연계해 반복 업무를 줄이고 맥락 기반 답변 생성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과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은 올해 11월 말부터 2026년 2월 말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2026년 3월부터 모든 중앙·지방정부로 단계 확대된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시 기념식을 열고 시연 및 향후 운영 계획을 소개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공부문에 AI를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의 과학화를 이끌 것”이라며 “AI 3대 강국 실현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민간 AI 기술을 공공 서비스에 접목해 국민이 체감하는 ‘AI 민주정부’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