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KT 본사. [사진=연합뉴스]
서울 광화문 KT 본사.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백연식 기자] KT가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9일 KT 판교 사옥 및 방배 사옥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은 지난 8월 미국 보안전문 매체 프랙이 KT의 서버 해킹 가능성을 제기한 이후 KT 측이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과 관련, 지난달 이 사안을 조사하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고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같은 청 사이버범죄수사과는 별개의 사건인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

해당 사건 수사는 지난 8월 말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지역 등 수도권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드러나면서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경찰은 차량에 불법 통신장비를 싣고 다니며 해킹 피해를 일으킨 A(48) 씨와 소액결제 건을 현금화한 B(44) 씨 등 중국동포 2명을 지난 9월 구속해 검찰에 넘겼다.

이후 A씨에게 불법 통신장비 부품을 전달한 2명과 자금 세탁책 1명 등 모두 3명을 지난달 추가로 구속 송치했다.

범행을 도운 혐의를 받는 6명을 불구속 입건해 이 중 5명을 검찰에 넘겼다. 현재까지 이 사건과 관련해 경찰에 검거된 인원은 총 11명(5명 구속·6명 불구속)이다.

현재 경찰은 민관합동조사단과 범행에 사용된 불법 통신 장비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며 구체적인 작동 방식 등에 관해 확인하고 있다. 장비는 27개의 네트워크 장비 개별 부품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다. 이 중 부품 1개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 즉 ‘펨토셀’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이 장비에 대한 1차 검증을 마친 데 이어 최근 2차 검증을 완료했다.

경찰은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2차 검증 결과를 회신받는 대로 이를 앞선 1차 검증 결과와 대조하며 해킹 양상 등을 분석하겠다는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에 사용됐던 장비 일부는 이미 중국으로 넘어간 상태여서 분석에 다소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향후 두 차례에 걸친 검증 결과를 교차 분석하며 조사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경찰은 앞선 불법 통신 장비 검증 과정에서 범행에 쓰인 것으로 알려진 기지국 아이디(셀 아이디)가 당초 알려진 4개 외에 여러 개 더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압수한 것 외에 다른 장비가 더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다.

최근까지 경찰이 접수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의 피해 규모는 220명에 1억4000여만원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 광명 124명(8100만원), 일산 1명(90만원), 과천 10명(445만원), 부천 7명(578만원), 서울 금천 67명(4100만원), 동작 5명(330만원), 서초 2명(170만원), 인천 부평 4명(250만원)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