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희일 기자]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요즘 소비자에게 도움 될 만한 '실용금융정보(금융꿀팁)'찾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금융소비자들은 금감원의 이같은 움직임에 박수를 보내고 있다.

정작, 금감원 내부에선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아 뿌듯하지만 아이디어 고갈로 매주 한가지씩 만들어 내는 게 솔직히 버겁다. 그렇지 않아도 바쁜 우리가 이런 것까지 해야 하냐”는 볼멘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금감원은 작년 8월16일 '현명한 신용관리요령'을 시작으로 매주 1가지 이상 금융꿀팁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30가지의 금융꿀팁이 소개됐는데 중기 과제로 200개를 내놓을 계획이다.

금융꿀팁은 서태종 수석부원장의 제안아래 시작됐다. 금감원 직원들이야 당연히 생각하는 금융정보도 소비자는 모르는 경우가 상당하다. 주제를 정해 관련 자료 작성 후 결제 받는 과정은 통상 2주다. 직원 스스로 꿀팁을 정리하다 보니 자료 분석과 의견수렴 등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금감원의 이같은 노력에 대해서 외부의 평가는 좋다. 굼융꿀팁을 통해서 사회초년생은 신용카드보다 합리적 소비가 가능한 체크카드를 쓰라는 식으로 재무설계사 처럼 방향을 제시하다 보니 소비자들이 반색하고 있다.

개인 신용등급 확인과 은행거래 우대혜택, 연금저축 절세노하우, 자동차보험료 절약 등의 주제는 금감원이 개설한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사이트 ‘파인(FINE·fine.fss.or.kr)’에서만 5000건 안팎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정작, 직원들은 앓는 소리들이다. 일부는 일도 많은데 굳이 금융꿀팁까지 제공해야 하냐며 피로감을 호소한다. 국내 정치 불안요인과 중국 경기 둔화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내외 불확실성도 커 리스크 관리 업무만으로도 힘겹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거래에 있어서 소비자는 약자다. 아무리 똑똑한 소비자라도 상품을 만든 금융사를 뛰어 넘지 못한다. 때문에 정보의 비대칭성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감독 당국은 시장거래 공정성을 감시하는 일 못지않게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 제공도 중요하다. 당국이 바라는 시장의 자정 기능을 제대로 작동시키려면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이 필수다.

우리나라는 금융교육이 부족하다. 소비자의 금융이해력 수준도 그리 높지 않다. 지난해 한국 소비자의 금융이해력은 66.2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금융교육 국제네트워크(OECD INFE)가 정한 최소목표점수(66.7점)에도 미달했다.

금감원은 작년 2월 금융 소비자 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직급을 부원장보에서 부원장으로 격상하고 권역별로 소비자보호 부서를 신설했다. 또 금융민원 조정실을 금융민원센터로 통합 개편하고, 인력도 2배로 늘렸다.

소비자 보호는 조직 개편만으로 보장되지 않는다. 금감원은 금융시장의 파수꾼으로 누구보다 나쁜 금융사와 그들이 저지른 불합리한 영업 관행을 뿌리뽑아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사의 꼼수에 휘둘리지 않고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판단키 위한 정보 전달자로서 금감원의 역할을 만들어 가야한다. 금융꿀팁 제공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직원들은 스스로 무능하다고 실토하는 거나 마찬가지이므로 사고방식부터 바꿔야 한다”며 “금감원 직원들부터 행정 편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소비자 피해 구제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공공기관 직원으로서 거듭나 달라”고 당부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