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유제원 기자]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이 날로 뜨거워 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우후죽순으로 출격한 간편결제 '페이'서비스는 가입자 수, 결제 건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시장 경쟁이 거세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을 계기로 국내 핀테크 시장이 점점 커질 전망이어서 간편결제 선점 경쟁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8월 내놓은 ‘삼성페이’는 누적 결제금액 2500억원, 누적 결제 건수 1000만건을 돌파하며 기세좋게 달리고 있다. 갤럭시S6, 갤럭시노트5 등 삼성의 최신 스마트폰을 갖고 있으면 근거리무선통신(NFC) 단말기뿐 아니라 기존 마그네틱 방식 카드결제기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기존 카드단말기를 교체하지 않아도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 덕분에 사용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게 삼성전자 측의 분석이다.

또,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는 동일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만로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간편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미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가입자 600만명, 결제 건수 1300만건을 넘어서며 자리를 굳히고 있다.

이어 지난해 6월 출시한 네이버페이는 6개월 만인 지난해 12월에 월 거래액 2000억원을 넘어섰다. 네이버페이의 누적 이용자 수는 1600만명, 월 이용자 수는 325만명에 달한다. NHN엔터테인먼트가 지난해 8월 서비스를 시작한 ‘페이코’도 누적 가입자 360만명, 평균 3회 이상 이용자 250만명에 육박한다.

최근 신세계 등 유통업체들도 고객관리 차원에서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놓고 가입자 및 가맹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출시한 신세계의 ‘SSG페이’는 다운로드 건수가 100만건에 달했는데 SSG페이는 신세계포인트, OK캐쉬백, 하나머니 등 멤버십 포인트를 SSG머니로 통합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롯데는 ‘L페이’를 삼성페이 안에 탑재했다. 현대백화점의 ‘H월렛’은 주차비 자동 정산, 전자 영수증 등 고객 편의 확대를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인터넷전문은행도 출격에 나섰다. 카카오뱅크와 K뱅크 모두 결제대행업체 등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사업자를 직접 연결해 수수료를 낮춘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내놨다. 카카오뱅크는 소비자와 사업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결제가 이뤄지는 ‘앱투앱 결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시중은행들도 최근 금융 업무와 무관해 보이는 의료업계와 손을 잡고 환자를 유치하거나 유통업계 고객 유치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의료·관광 서비스, 유통망 ‘지급결제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서다.

KEB하나은행은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특화 상품 ‘메디컬 결제서비스’를 선보였다.

치료를 마친 환자가 은행을 통해 병원에 치료비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한 상품이다. 이 서비스로 국내 의료기관은 외국인 환자의 채무불이행에 따른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외국인 환자는 더 쉽게 비자 발급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회사 측의 설명이다.

글로벌 의료서비스 시장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정부가 ‘2017년 외국인 환자 유치 50만 명 달성’ 등의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환자와 의료기관의 요구를 반영하는 특화된 금융상품은 부족한 상태에서 KEB하나은행은 고유의 핀테크 서비스와도 연계, 활용 범위를 넓히고 외국인 환자 유치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또, 우리은행은 중국 인터넷서비스 전문업체 텐센트와 해외 결제 서비스에 대한 국내 자금정산 업무서비스 제휴를 맺고, 중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스마트폰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 뿐만 아니라 유통업체들도 지급 결제 시장을 미리 선점하는 것이 영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업체들은 새로운 서비스와 관련 결제시장 찾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