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박병윤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약물치료가 어려운 악성 간암 진단 및 항암제 개발을 가능케 할 대사성 치료 표적을 발굴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아주대 의과대학 윤계순 교수, 우현구 교수, 이영경 박사 등이 미토콘드리아 손상성 대사 조절기전을 규명을 통해 간암의 치료 효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발굴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물은 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지 온라인(early view)판 지난달 14일 자에 게재됐다.

간암은 국내 중장년층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이다. 대부분 진단 시기가 늦어 근본적 치료인 절제술이 불가능하거나 간경변을 동반해 일반적인 화학과 방사선 요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간세포를 이용해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된 세 가지 세포 모델을 확립한 후 DNA마이크로어레이(수 만개 종류의 매우 작은 DNA 조각들이 고체 표면에 집적된 것으로 많은 양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와 생물정보학(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물학적·의학적인 의미를 밝히는 학문) 분석기법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됐을 때 발현해 간암의 악성화를 촉진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10개의 핵심 유전자(미토콘드리아 손상성 핵심 유전자)를 발굴했다.

이 10개의 핵심 유전자가 모두 발현된 환자군의 2년 생존율은 35%로 그렇지 않은 환자군(76%)에 비해 크게 낮았고 수술 후 2년 내 조기재발율도 35%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즉, 미토콘드리아 손상성 핵심 유전자가 많이 발현할수록 간암환자의 생존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해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중심의 새로운 간암 악성화 조절 기전을 규명한 것이다.

특히 미토콘드리아 손상성 핵심 유전자 중 하나인 엔유피알1(NUPR1)은 그래눌린(Granulin)이라는 유전자를 발현해 간암을 악성화시키는 데 직접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 간암 악성화의 조절기전과 암 조직 활성화와의 연계성을 명확히 밝혔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윤 교수는 "향후 간암을 비롯한 다양한 악성 암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