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가 많은 취업난이라고 중소기업들이 안심하다가는 큰 코를 다칠 것으로 보인다. 한 조사기관에 의하면 직원 1명이 퇴사할 때의 경제적 손실이 해당 직원이 받는 연봉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취업포터 잡코리아는 종업원수 100명 이상 300명 미만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488명을 대상으로 ‘직원들의 자발적인 퇴사가 회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한 결과, 10개 기업 중 9개 기업 정도가 직원의 자발적 퇴사로 손실을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   자료 : 잡코리아

 
특히 이를 금전적으로 환산할 경우 퇴사한 직원이 받는 연봉의 2배정도라고 답한 기업이 30.7%로 가장 많았으며 퇴사한 직원 연봉의 3배정도 손해라고 답한 기업도 17.0%나 됐다.
 
다음으로 △퇴사한 직원의 연봉 정도 손해 17.2% △퇴사 직원 연봉의 1.5배 정도 손해 16.4% △퇴사 직원 연봉의 4~5배 이상 손해 11.1%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회사에 별 손해는 없다’ 답한 기업은 7.6%에 불과했다.
 
직원의 자발적 퇴사 시, 회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후임자의 업무 노하우 숙지 및  교육을 위한 투자와 이로 인한 업무의 공백기간을 지적한 답변이 응답률 73.6%로 가장 많았다.
 
이어 △팀 및 조직 분위기 와해(타 직원들에게 이직 분위기 조성 등) 58.6% △퇴사한 직원이 관리하는 고객, 거래처, 관계사 등 인맥이 끊김  38.5% △경쟁사로의 회사정보 노출 위험 34.0%  △인력충원에 필요한 채용 비용 발생 24.0% △결원기간 동안의 업무 중단 22.5% 등의 부정적인 영향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퇴사한 직원의 후임자를 채용할 경우, 그 후임자의 전반적인 능력 평가에 대해서는 ‘퇴사한 직원보다 조금 더 능력이 뒤쳐지는 경우가 많다’는 응답이 39.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퇴사 직원과 동일한 수준의 후임자가 채용된다 29.1% △퇴사 직원보다 조금 더 능력 있는 후임자가 채용된다 23.6% 등의 의견이 있었다.
 
한편 직원의 자발적 퇴사 시, 회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급으로는 과장급(36.1%)과 대리급(32.4%)이 가장 많았으며 이 외에 △부장급 퇴사 11.1% △차장급 퇴사 8.6% △사원급 퇴사 8.2% △이사급(임원급) 이상 퇴사 3.7% 순이었다.
 
경력년차 별로는 3년~5년차 미만 직원의 퇴사가 45.9%로 회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1년~3년차 미만 퇴사 22.5% △5년~7년차 미만 퇴사 20.1% △7년~10년차 미만 퇴사 6.1% △1년차 미만 3.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최근 국내 고용시장에서 이직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면서 “개인에게는 이직이 몸값을 높이거나 커리어 관리를 위한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기업에게는 상당한 비용손실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인재유지를 위한 정책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석 기자> lms@enewstoday.co.kr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