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뉴스투데이 방재홍 발행인

[이뉴스투데이 방재홍 발행인] 지난 3월 10일 전국의 대다수 고교생이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렀다. 이번 평가에서는 웃지 못할 광경이 연출됐다. 고교 1ㆍ2ㆍ3학년이 저마다 다른 형태의 수능 모의고사 시험지를 놓고 씨름한 것이다. 이 같은 수능의 변화는 '3년 예고제'에 따라 미리 안내되기는 했다. 하지만 잦은 대입제도 변화가 현 고교 재학생에게 한꺼번에 몰리면서 교육 현장에선 혼란스럽다고 토로한다.

이것만으로도 기가 막힐 일이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수능은 앞으로 더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달에 수능 오류와 난이도 안정화 대책이 나온다. 중장기 수능 제도 개선책도 하반기 발표가 예정돼 있다. 2018년 전면 시행되는 문·이과 통합교육 과정에 따라 2021학년도 수능은 다시 대수술이 불가피하다. 학생들을 '실험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서는 도무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교사들은 "가르칠 범위와 수준을 종잡을 수 없다"고 하소연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학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우리 교육정책은 졸속으로 수많은 변화를 거듭해왔다. 특히 '교육=대학입시제도'로 바라보는 학생, 학부모, 일선 교육 현장의 시선에선 교육정책이 '널을 뛰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학입시제도는 1945년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 크게 16차례나 바뀌었다. 세부 변경까지 포함하면 40차례 이상 굴곡을 겪었다는 분석도 있다.

잦은 대입제도 개편은 임기 내에 성과를 내려고 하는 정권의 조바심에서 빚어진 측면이 크다. 역대 어느 정부건 입시제도에 눈독을 들였다. '큰 비용이나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사교육비 절감이라는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진 결과가 수십 차례의 대학입시 변경으로 나타났다. 현 정부도 이전 정부가 걸었던 잘못된 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대입제도는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매년 바뀌면 효과는 떨어지고 혼란만 커질 뿐이다. "무슨 스마트폰 앱 업데이트하는 것도 아니고…"라며 탄식하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당국은 뼈 아프게 들어야 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