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분기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3일 OECD 통계에 따르면 30개 회원국 가운데 2분기 생산자물가가 파악되지 않은 4개국을 제외한 26개국을 보면, 한국의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동기 대비 12.6%로 터키의 16.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는 한국의 산업이 석유화학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자물가에서 소비자물가를 뺀 수치도 한국이 OECD 최고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생산자물가가 상당히 높지만 정부가 공공요금을 억제하고 기업들이 소비자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그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압력이 높다는 뜻이다.

경제전문가들은 따라서 한국의 소비자물가 고공행진은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한국 다음으로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높은 나라는 그리스(10.8%), 네덜란드(10.6%), 미국(9.5%), 멕시코(9.4%), 영국(8.9%), 스페인(8.0%) 등의 순이었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낮은 나라는 아일랜드(-3.3%), 프랑스(2.1%), 스웨덴(2.3%), 캐나다(3.2%), 슬로바키아(3.1%), 헝가리(3.9%), 체코(3.9%) 등이었다.

일본(4.3%), 이탈리아(7.3%), 독일(4.5%) 등도 한국보다 낮았다. 이에 따라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무거운 상승압력을 받고 있다.

특히 생산자물가에서 소비자물가를 뺀 수치를 보면, 한국이 7.8%포인트로 네덜란드(8.3%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평균의 3.7% 포인트에 비해 2배가 넘는 수준이다.

한국의 생산자물가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것은 산업 구조상 수입 원자재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유,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면서 석유.화학, 철강, 조선 등 주력 업종의 생산 원가가 일제히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2분기에 고환율을 용인했던 정부 정책도 한 원인으로 꼽는다. 즉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곧바로 수입물가가 오르게 되는데 기업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나 자본재의 수입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구조여서 생산자물가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다.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의 격차가 큰 것도 한국 경제에 적지않은 부담을 준다. 기업들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생산 원가가 높아지더라도 당장 가격을 올리면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는 기업들이 원가상승 부담을 감내하게 된다.

송태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들이 원가부담을 그대로 가격에 전가한다면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의 상승 속도가 비슷해야 하는데 그 상승률에 차이가 크다는 것은 아직까지는 원가 상승분을 자체적으로 흡수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정부가 원가상승에도 불구하고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고 있는 것도 생산자-소비자 물가의 격차를 확대하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요금 역시 무한정 억제될 수 없으며 단계적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물가는 하반기 내내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 권구현 기자>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