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미래먹거리인 ‘자율주행기술’에 이통3사가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용화까지 미비한 5G 전국망부터 관련 제도까지 넘어야 할 산이 높다는 지적이다.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이동통신3사가 ‘자율주행기술’을 미래먹거리로 낙점하고 5G기술력을 앞세워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 성과가 속속 나오면서 활용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미비한 5G 전국망에 따른 불통 가능성과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에서 제도·규제가 여전히 아쉬운 수준이다.

자율주행기술은 △자동차 △물류 △일반서비스 다방면에서 높은 활용도를 가능케 하는 4차산업혁명시대 혁신기술로 손꼽힌다. 편의성은 물론, 공급 효율성도 높여 수요·공급 측면의 필요성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5G ‘세계 최초’서 ‘세계 최고’ 도약 정조준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한 통신3사는 빠르고 끊김없는 5G 기술력을 기반으로 자율주행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주변에 있는 다양한 요소 간 소통을 가능케 하는 ‘차량-사물 통신기술(V2X)’ 등에서 확보한 기술력을 토대로 실시간 사물인식이 필수인 자율주행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지겠다는 목표다.

SK텔레콤은 자율주행 로봇배달 플랫폼 업체 뉴빌리티와 로봇배달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뉴빌리티 배달로봇 ‘뉴비’의 자율주행 기술과 SK텔레콤의 AI기술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현재 수도권과 제주도에서 배송로봇을 시험하면서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KT는 최근 방역과 AI기술을 결합한 ‘AI 방역로봇’을 한 부동산 홍보관에 시범 도입하고 자율주행 배달로봇 실증사업을 진행하면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로 환경과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관제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량이 보내는 데이터를 신속·안전하게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솔루션 업체 에이스랩과 AI·빅데이터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올 3분기까지 개발을 마치고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5G전국망·융합제도는 미비…상용화 발목잡나

이처럼 자율주행기술과 관련해 이통3사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상용화까진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아직 미비한 5G 전국망이 대표적이다. 안전한 자율주행의 관건은 주변환경은 물론, 1km 이내 상황까지 함께 예측·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5G 통신이 필수다.

하지만 현재 5G망은 실외와 수도권에 쏠려있는 상황이다. 5G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지역에선 불통 현상이 일어나 오류 위험이 높아지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이통3사 5G 무선국 46만대 중 기지국(실외 용도)이 43만대(94%), 중계기(실내 용도)가 3만대(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LTE가 기지국 67%, 중계기 33%인 점에 비하면 쏠림현상이 심각하다. 전국적으로 음영지역에서의 불통 비율이 크게 높아지는 셈이다.

5G 기지국의 ‘수도권 쏠림 현상’도 문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올초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말 기준 5G 무선국 현황’에 따르면 전체 19만8832개 중 9만489개(45.5%)가 수도권에 몰려있다.

5G망 쏠림현상에 대해 한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는 “5G망 확대는 수익성이 높은 관련 콘텐츠를 다양화하는 것이 관건”이라면서 “수도권 쏠림현상은 새로운 기술과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요층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5G망이 필수인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관련 컨텐츠 수요와 수익성이 더 높아져야 통신사에서 5G망 확충을 위한 자본을 투입한다는 것이 연구계 중론”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다양한 산업과 기술을 융합하는 자율주행기술을 상용화하려면 관련 제도·규제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자율주행기술 분야는 입법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다”면서 “자율주행로봇은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인도나 횡단보도도 주행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상용화는커녕 시작조차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친다 해도 상용화하려면 여러 돌발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사고와 대처에 대한 여러 제도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면서 “2개 이상의 산업이 융합되는 특성상 담당 부처가 여러 개로 나뉘어져 있어 관련 제도·규제가 빠르게 마련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아마존과 우버 같은 해외 IT공룡기업들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개선의 여지가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그는 “자율주행기술을 완벽하게 상용화한 나라는 아직 전무하다”면서 “미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현재 선도국가로 꼽히는 미국과 중국의 선례를 참고해 다방면에서 개선에 나서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