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IT 업계가 호황에도 불구하고 인력난을 겪으며 앞으로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ICT(정보통신기술) 업계가 매년 꾸준한 호황에도 불구하고 장기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더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인재양성 및 채용·업무체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9일 ICT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급속한 경기회복에 따른 반등효과로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규모를 기록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호황기를 맞았다. 다만 국제정세간 다양한 변수와 더불어 인력난까지 잇따르면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내 ICT 업계는 지난 2005년 수출규모 1000억달러, 지난 2018년 200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이후 지난해 또 다시 ‘역대 최대’ 수출기록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대표적인 ‘ICT 효자상품’으로 꼽히는 반도체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에서 수출이 도드라진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중소·중견기업들도 14개월 연속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 같은 업계 전반의 실적호조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전망에 물음표가 크게 붙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 등 수출 부문에 직격타를 가하는 여러 변수와 더불어, 업계에 들어닥친 인력난이 장기화하고 있어서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1 ICT 인력동향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전체 산업인력 대비 ICT산업 인력 비율은 4.2%에 불과하다. 2015년(4.9%)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다.

수치로 보면 2019년보다 0.3% 가량 증가한 103만4000명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산업인력 증가율이 10%대에 달하는 점에 비하면 매우 낮은 증가율 수치다.

특히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필수·주요분야로 꼽히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분야에서 인력난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AI·빅데이터 분야에서의 인력부족 규모는 9453명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1만5000명까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인력공급 감소에 따른 업계 내 ‘양극화 심화’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ICT업계 관계자는 “전체 인력이 미세한 비율로 줄어도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크다”면서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체감하는 인력난은 몇 배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모든 산업에 디지털 전환이 크게 확산하면서 관련 인력들의 대기업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결국 양극화가 심화돼 산업 생태계가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없는 구조”라고 크게 우려했다.

이미 양극화 현상은 진행형이다. 최근 여러 대기업이 IT 개발자를 붙잡기 위해 연이어 연봉인상을 단행하면서 중소기업·스타트업에서는 인력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한 중소 IT기업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대기업에서 개발자 연봉을 줄줄이 인상하면서 중소기업은 높아진 평균연봉에 버거워하고 있다”면서 “눈에 보이는 인력은 분명히 있는데 회사가 채용 가능한 인력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아웃소싱으로 동남아까지 눈을 돌리는 상황”이라고 한탄했다.

이러한 인력난은 핵심·고급인력과 기밀이 외국으로 유출될 수 있는 위험성으로 이어진다.

제한적인 인력공급이 넘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공급가격이 천정부지로 뛰면, 인력유치 전쟁은 안정적인 자금력을 지닌 대기업만의 전유물이 될 수 있다. 여기에 IT강국의 고급·핵심인력을 탐내는 글로벌 대기업들까지 적극 참전한다면 인력을 넘어 기밀유출 우려로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업계 현장에선 이런 예상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한 IT플랫폼 스타트업 관계자는 “신제품 개발이나 업데이트 시즌에는 어느 회사나 마찬가지로 개발자들의 노고가 만만치 않다”면서 “문제는 이런 기간이 생각보다 잦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잦은 야근에 적합한 수당을 책정하지 않아 업계 내 이직이 잦다”면서 “본인이 활용하는 전문 프로그래밍 언어를 주로 활용하는 경쟁사 중 한 곳에서 좋은 제안이 들어오면 뒤도 안 돌아보고 나가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덧붙였다.

학계에선 문제 기반에 다가서서 현행 교육체계를 현실과 최대한 가깝게 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이공계 학회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4차산업 관련 성과가 계속 나오면서 기존 비인기 과목으로 치부되던 컴퓨터공학과 같은 전공 인기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학정원 등 기존 시스템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면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과정 역시 급속하게 변하는 기술과 실무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에서도 위기감을 느끼고 ICT 산업계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다방면의 대응책을 도출해 시행할 방침이다. 

ICT 산업 수출액이 전체 산업에서 30~40%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경제를 견인하는 만큼 조속한 대응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NHN 본사에서 ‘민·관 협력 디지털 인재양성 선포식 및 현장간담회’를 개최하고 민간과 함께 오는 2027년까지 디지털 인재 9만명을 육성하는 데 뜻을 모았다.

올해 기업이 주도하는 민관 협력형 인재양성 6대 프로젝트에 1109억원을 투입해 약 1만명의 인재를 양성하고, 오는 2027년까지 총 9만명을 육성한다는 목표다.

사이버보안 분야의 인력난 해소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사이버보안 협력 강화를 강조하면서 기존 ‘10만 사이버보안 인재양성’ 국정과제에 박차를 가할 뜻을 내비쳤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