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고선호 기자]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바탕으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역대 최대 거래액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 2020년 11월을 기점으로 12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간 가운데 전력거래 집계 사상 역대 최대치를 갱신하면서 잇따른 호재를 바탕으로 한 대대적인 시장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규모는 3633억원을 기록, 전월 대비 1200억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집계 사상 역대 최대치에 해당하는 수치로, 10년간 약 299%에 달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가장 높은 호황을 기록했던 2019년도 기준 최고치인 2300억원과 비교했을 때도 약 56%에 달하는 증가세를 보여 정부 정책을 바탕으로 한 시장 성장세를 입증했다.

같은 기간 원자력, 유연탄, LNG 등 타 발전원에서 역시 전반적인 상승세가 이어진 것을 감안했을 때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신재생에너지 내에서도 특히 태양광, 풍력 등의 친환경 발전 부문을 비롯해 연료전지, 바이오 등 전 부문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의 전국 전력거래 규모는 전년 대비 66.1% 증가했으며, 풍력 발전도 37.3
%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연료전지와 바이오 부문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각각 93.9%, 67% 가량 증가했다.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시장은 2019년 9월을 기점으로 2000억원선이 붕괴된 이후 적은 폭의 등락이 지속돼다 지난해 11월 기준 1000억원선이 붕괴되면서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같은 해 12월을 기점으로 거래규모가 1500억원선을 넘어서면서 회복세로 돌아선 이후 2021년 12월 기준 1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년도·월별 전력거래 규모 변동 추이. [사진=전력거래소]
월별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규모 변동 추이. [사진=전력거래소]

이 같은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회복세의 주요 배경에는 정부 주도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전력거래 시장에 안착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전체 발전설비의 46.3%를 차지하는 석탄·원전 발전을 오는 2034년까지 24%대로 낮추는 한편, 현재 15%대 수준인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0%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용 전력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골자로 한 에너지 캠페인인 RE100 참여를 유도하는 등 관련 시장의 수요처를 확대했다.

여기에 국내 기업들의 자발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 움직임까지 더해지면서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태양광 발전업계 관계자는 “2020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시장이 살아나면서 시장 전체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며 “민간 발전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발전업계 규모 확대를 비롯해 정부의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이 이뤄지면서 지속적인 시장 전망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지난해 유연탄 등 석탄발전 전력거래 규모가 정책 추진 이전 시점으로 회귀한 사실도 확인됐다.

특히 같은 기간 LNG와 신재생에너지 등 기존 석탄발전을 대체할 발전원의 전력거래 규모가 큰 폭을 증가한 점을 비춰봤을 때 상승폭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석탄발전(유연탄·무연탄) 전력거래규모는 총 18조5501억원으로, 전년 14조9088억원 대비 24.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4월을 기점으로 1조원선이 무너진 유연탄의 전력거래 규모가 7월 2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12월 2조1880억원까지 치솟는 등 비정상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하절기 전력피크 시기 원전 가동 중단으로 인한 전력수급의 차질을 비롯해 탈탄소 정책에 따른 전력수급난 우려에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이는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 구조에서 벗어나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줄이자는 ‘탄소중립’ 정책의 방향성에 역행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전력계통 관련 전문가들은 정부의 탈탄소 정책에 대한 무리한 추진에 따른 부작용으로 해석했다.

이와 관련, 이준신 성관관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시장 전반의 성장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에너지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며 “단기적인 속도전에만 치우칠 경우 전력생산 효율성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