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최근 UN에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년(7억914만t) 대비 24.4% 감축하고 2050년에는 ‘제로’로 만드는 내용을 골자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년을 목표로 하는 미래비전 성격의 ‘장기 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출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신하연 기자] 정부의 ‘탄소중립’ 기조에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팔을 걷었다.

정부는 최근 UN에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년(7억914만t) 대비 24.4% 감축하고 2050년에는 ‘제로’로 만드는 내용을 골자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년을 목표로 하는 미래비전 성격의 ‘장기 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출했다. 

김 장관은 지난 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온실가스는 우리 농업과도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면서 “농업·농촌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근본 구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농사 방식 변화 △에너지 이용 효율 개선 △가축 저메탄 사료 개발 △가축분뇨 처리·신재생에너지 생산 병행 에너지화 시설 확대 등을 제시했다.

농업 분야에서 1년 동안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은 2017년 기준 2040만t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벼 재배 시 물속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메탄이 온실가스 전체 농업 분야 배출량의 30%가량을 차지한다.

벼 생육 기간 중 1~2회 물을 완전히 배수하거나, 논물을 2~3cm로 얕게 대는 등 농사 방식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채소와 과일도 화석연료를 사용한 시설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유리온실 등 시설원예 분야에 유류 의존도가 낮은 에너지 이용구조 재편과 에너지 이용 효율 제고가 요구되는 이유다.

소의 되새김질 등 가축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가축의 장내 발효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조사료 품질을 개선과 저메탄 사료 개발도 필요하다.

가축분뇨 처리와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병행할 수 있는 에너지화 시설도 확대할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
김 장관은 지난 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농업·농촌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근본 구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농식품부는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에 참여하는 음식료품 업체(파리크라상, 오리온, 농심, 오뚜기, 삼양사 등)에 온실가스 감축 설비·시스템 구축비용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연간 온실가스 약 4558tCO2 감축이 기대된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약 69만그루(460ha)가 1년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양과 같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21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량의 유상할당비율이 현행 3%에서 10%로 확대될 예정”이라며 “온실가스 감축목표 강화에 업체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관련 기술개발·설비 지원 등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해 생산한 농축산물에 대한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를 운영하고, 농축산업 분야에서의 친환경적인 에너지 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도 진행 중이다.

다만 배출 원인별 세부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비전 제시가 요구된다.

박웅두 정의당 농민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2월 10일 진행된 ‘탄소중립 시대, 농업 먹거리 분야 정의로운 전환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토론회에서 “정부의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농축산업에 투입된 연료 및 기타 에너지 총량이 반영되지 않았고, 농식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돼 소비와 폐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고려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농식품부 농촌재생에너지팀 관계자는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각종 농업분야에서 감축 잠재량을 파악 중이며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TF를 조직한 상태”라면서 “‘농식품분야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은 이번 1분기 내로, ‘205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은 올해 연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대해선 “글로벌 기준에 따른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따라 산정하고 있다”며 “투입된 에너지 총량은 ‘에너지’ 부문에, 소비와 폐기과정에서의 배출량은 ‘폐기물’ 부문에서 산정되는 식이다”라고 일축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