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윤진웅 기자] 안동댐 왜가리 폐사와 관련해 질병이나 중금속 중독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안동댐 왜가리 폐사원인 분석 연구용역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를 담당한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의과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왜가리의 폐사에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11개월 간 안동댐 지역 7개체, 타지역 4개체 등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병원체 검사, 중금속 검사, 외상 및 내장부검 등 3개 분야에 대한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병원체 검사결과, 대장균, 살모넬라 및 가금콜레라와 같은 세균성 질병의 감염은 없었고,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수은 등 총 9개 항목의 중금속 분석결과 카드뮴과 비소는 나오지 않았으며, 그 외 중금속은 미량 검출됐다.

안동댐 인근 왜가리와 타지역 왜가리를 비교하면 일부 항목에서 안동댐 인근 왜가리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의성 있는 중금속 수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조사된 중금속 농도가 왜가리의 생리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만한 수치로 검출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수은의 경우에는 안동댐 인근 왜가리에서는 0.63㎍/g으로 대조군인 타지역(봉화·영주) 왜가리 0.28㎍/g 보다 높게 검출됐지만, 폐사가 일어날 농도(8.5㎍/g) 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외상 및 내장부검 결과 육안적 병기검사 가능한 개체의 경우 심장, 간, 폐 등 모두 정상이었고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부 개체에서 관찰되는 날개와 다리의 출혈과 두부 천공은 둥지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동물에 의한 공격으로 생긴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연구팀은 "문헌조사 결과 모든 조류의 67%는 여러 가지 이유로 첫해에 사망하는 특징이 있으며, 왜가리의 경우 평균수명은 약 5년 정도로 출생후부터 2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약 26%밖에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해당 연구는 안동댐 상류,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중금속 오염이 왜가리 폐사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의혹이 일면서 실시됐다.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은 낙동강 상류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조사·연구를 지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