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유제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극심했던 금융시장 혼란이 지난달 들어 다소 완화됐다.

그러나 신용위험과 유동성 위험 등 위기를 증폭할 수 있는 '불씨'가 여전히 꺼지지 않은 데다 경제활동이 원상복구 되기까지 예상보다 오랜 기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또 이달 증시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전망도 잇따르면서 5월도 가시밭길이 예고됐다.

11일 금융업계에 등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금융시장은 3월의 극심한 혼란 국면에서는 가까스로 벗어난 모습이다.

대표적인 대외건전성 지표인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5년물 기준)은 지난주(4월 27일∼5월 1일) 평균 0.36%포인트로, 3월 중순(3월 16일∼20일·0.51%포인트)보다 0.15%포인트 하락했다.

3월 19일 장중 달러당 1,296.0원까지 올라 1,300원 선에 육박했던 원/달러 환율은 같은 날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계획 발표 이후 안정을 되찾았다. 4월 마지막 거래일인 29일 환율은 달러당 1,218.2원으로 떨어졌다.

코스피는 3월 19일 1,457.64로 추락하는 등 굳건한 지지선으로 여겨졌던 1,500선마저 한때 내줬지만, 8일엔 1,945.82으로 올라 저점 대비 34% 반등세를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들은 여전히 우려를 나타냈다.

외국인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주식을 대거 내다 팔며 주가 폭락의 원인을 제공했다. 이달 증시 전망 보고서를 발간한 8개 증권사의 5월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 하단은 평균 1,755로 집계됐다.

회사별로 보면 신한금융투자와 대신증권이 등락 범위 하단을 1,700으로 제시해 가장 낮은 눈높이를 보였다. 부국증권과 삼성증권은 1,750을, KB증권과 IBK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1,780을 각각 하단으로 제시했다.

유일하게 등락 범위 하단을 1,800으로 잡은 키움증권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증권사는 모두 코스피가 1,700대 초중반까지 재차 추락할 수 있다고 전망한 것이다.

다만 외국인들이 국내 채권은 국고채를 중심으로 오히려 3∼4월 중 꾸준히 사들였다.

4월 말 현재 외국인 보유 국내 채권 잔고는 138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외국인이 3∼4월 중 신흥국 채권을 대거 내다 판 것과는 대조적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극도로 커진 상황에서 분 기말 자금 수요와 증권사의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 대응 자금 수요까지 몰리면서 3월 하순 들어 신용경색이 증폭됐다.

다급했던 채권시장은 정부와 한국은행이 유동성 공급 대책을 내놓으며 급한 불을 끄고 4월 들어 시장 불안이 다소 완화한 상태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일단 한숨은 돌렸지만 5월 이후에도 코로나19 사태가 얼마나 장기화할지가 관건이다.

주요국의 이동제한 조치가 3월 중순 이후 본격화했기 때문에 2분기 경기둔화 폭이 1분기보다 커질 것이라는 데 시장 안팎에서 이견이 없다.

다만, 감염병 대유행이 2분기 중 잦아들고 억제 노력이 점진적으로 풀어지는 게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주요 투자은행(IB)의 기본 전개 시나리오다.

그러나 주요국의 이동제한 해제가 지연될 경우 3분기 이후 'V자형' 또는 'U자형' 경기 반등은 낙관하기 어렵게 된다.

지난달 9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정책회의 의사록을 보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이로 인한 국내외 수요 위축이 상반기 이후까지 계속될 경우, 기업 수익과 현금흐름의 악화가 주요 산업에서의 고용과 투자 조정, 폐업, 파산 등으로 이어지면서 중장기 성장잠재력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며 "나아가 금융여건과의 악순환을 통해 심각한 금융 불안으로 파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기업의 신용위험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취약성도 여전히 작은 충격에 터질 수 있을 만큼 안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기업들이 자금을 제대로 조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할 경우 기업 부도 등으로 신용위험 이슈가 증폭될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재정지출로 경제 공백을 메우면서 국채 발행량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 점도 회사채를 발행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선 자금 조달 비용을 늘리는 요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시장이 무너지는 사태는 진정됐지만, 유동성 위험과 신용위험이 여전히 상당하게 번져 있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으로 안정화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5월도 여전히 어려운 여건에 처해있기 때문에 정책당국자도 금융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정책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