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지원센터 지원사업 추진 로드맵. [사진제공=강원연구원]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지원사업 추진 로드맵. [사진제공=강원연구원]

[이뉴스투데이 강원취재본부 변고은 기자] 강원도 내 마을 자생력 확보 및 지역소멸 예방 대안으로 마을공동체 활성화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강원도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방향’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강원도는 지속적인 고령인구 증가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도내 18개 시·군 중 12개 시·군이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들어섰다.

강원도 고령화 인구 비율은 2010년 14.8%, 2012년 15.7%, 2016년 17.2%, 2019년 19.6, 2020년 20.1%로 지속 증가했으며, 이는 전국 고령인구 비율(15.8%)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이에 도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강원도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 지속적으로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다.

강원도는 현재까지 609개소 마을공동체에 약 36억원을 지원했다.

지난 2018년 기준 사업이 지원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공동체 활동 활성화, 구성원 및 참여자 증대 등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운영예산 및 인력 부족, 공동체와 행정 간의 괴리, 운영사업 지원·관리 부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됐다.

이에 예산 및 지원 인력 확보 등 체계적인 지원체계 마련과 공동체와 행정 간의 괴리를 좁혀 지속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시·군 중간 지원조식 설립이 필요하다.

아울러 마을공동체 생태계 조성 및 지속가능한 사업 추진을 위한 연계사업 발굴도 필요한 실정이다.

65세 인구가 전체 인구 7% 이상일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사회’로 각각 분류된다.

소멸위험지수 기준은 1.5 이상 ‘매우 낮음’, 1.0~1.5 미만 ‘보통’, 0.5~1.0 미만 주의 단계, 0.2~0.5 미만 위험 진입 단계, 0.2 미만 고위험 지역으로 나뉜다.

박재형 강원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도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콘트롤타워를 구축해 마을공동체 유성을 위한 기반 조성은 물론 마을공동체 간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며 “사업의 확장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마을공동체 활성화 정도에 따라 장기적인 로드맵을 구성해 단계별(구축기·성장기·확장기) 지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